프라이버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자신에 관한 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알려지고 또 이용되도록 할 것인지를 그 정보주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이다. 즉 정보주체가 개인정보의 공개와 이용에 관하여 스스로 결정할 권리를 말한다.     더 보기

프라이버시 최근 글

[해외정보인권] Statement by the GPA Executive Committee on the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세계 개인정보감독기구회의(GPA) 집행 위원회, 코로나 바이러스의 세계적 유행에 대한 성명

By | 프라이버시

번역오류는 policy 골뱅이 jinbo.net 으로 알려주세요. 제목 : 코로나 바이러스의 세계적 유행에 대한 성명 원문제목 : Statement by the GPA Executive Committee on the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원문링크 : https://globalprivacyassembly.org/gpaexco-covid19/…

Read More

[해외정보인권] Statement on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outbreak
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 이사회(EDPB), COVID-19 발생 상황에서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성명서

By | 프라이버시

번역오류는 policy 골뱅이 jinbo.net 으로 알려주세요. 제목 : COVID-19 발생 상황에서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성명서 원문제목 : Statement on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Read More

[보도자료]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검찰 신속 수사 촉구

By | 통신비밀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검찰 신속 수사 촉구   국정원, 내부 감찰 결과와 조치현황 공개해야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진상규명과 관련자 엄중 처벌 이루어져야 국정원감시네트워크(이하 국감넷)와 국정원’프락치’공작사건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원회)는 오늘(5/21), 국가정보원(이하 국정원)이 간첩조작을...
Read More

[해외정보인권]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fundamental rights considerations in the context of law enforcement
[해외정보인권] 얼굴 인식 기술 : 법 집행 상황에서 기본권에 대한 고려사항, 결론부

By | 소식지, 얼굴인식

편집자주 : 코로나19와 공중보건을 명분으로 통제를 위해 얼굴 인식 기술을 도입한 국가들이 여럿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도입된 감시 시스템은 상황이 종료되고 사회가 평온한 일상으로 돌아가더라도 쉽사리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이번에…

Read More

개인정보보호법 및 신용정보보호법 시행령(안)에 대한 시민사회 의견서

By | 개인정보보호법, 의견서

오늘(5월 11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디지털정보위원회, 서울YMCA, 연구공동체 건강과대안,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진보네트워크센터, 참여연대, 한국소비자연맹 등 8개 시민사회단체는 행정안전부 및 금융위원회에 지난  3월 31일 입법예고된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및 「신용정보의…

Read More

‘텔레그램 n번방 사건’ 재발방지를 위한 철저한 조사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공개민원

By | 개인정보보호, 개인정보유출, 민원, 주민등록제도
수신: 각 언론사 정치부·사회부 발신: 진보네트워크센터(담당자: 미루 정책활동가, 02-774-4551) 제목: ‘텔레그램 n번방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한 철저한 조사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공개민원 날짜: 2020.04.16. 1. 진보네트워크센터는 오늘(2020.4.16)...
Read More

2020년 4월 21일(화) 오후 2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
경찰 권력 축소 및 민주적 통제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개최

By | 통신비밀

1. 취지와 목적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비대해진 경찰 권한을 분산시키고 민주적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경찰개혁’ 입법이 차기 과제로 대두되었습니다. 경찰 권한은 시민의 기본권 제한으로 연결될 수 있는 만큼  경찰개혁 방향은…

Read More

[공동성명] 시민의 인권을 중심에 두지 않은 ‘전자 팔찌’ 도입 검토 등 정부의 강경대응정책 추진에 우려를 표한다.

By | 입장, 프라이버시

시민의 인권을 중심에 두지 않은 ‘전자 팔찌’ 도입 검토 등 정부의 강경대응정책 추진에 우려를 표한다. 1.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최근 감염병 예방이라는 명목 아래 자가격리 이탈자 등에 대한 엄벌주의 원칙 수립,…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