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순 오래된 순
- 2019
- 12.11
- 국회 본회의에 부의된 통신비밀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법제사법위원회 대안)에 반대한다!
- 12.9
- [기자회견] 개인정보 도둑법 강행하는 정부 규탄한다
- [성명] 방통위의 망이용계약 가이드라인에 반대한다
- 12.4
- [보도자료] 국회 계류 개인정보3법안은 “개인정보 도둑 법안”
- 12.3
- [다자간인터넷거버넌스협의회 성명] 다자간 인터넷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인터넷주소자원법 개정안 발의를 환영한다
- 11.29
- [기고] 데이터3법 ‘가명처리’ 하듯 국민 눈 가릴 텐가
- 11.28
- 국가 정보보안을 위한 대안 법안 연구보고서 발간
- 11.27
- [기자회견] 개인정보보호법은 비쟁점 법안이 아니다.
- 11.26
- [성명] 20대 마지막 정기국회 국정원법 처리를 촉구한다
- 11.18
- 얼굴인식 기술 사용을 금지하라!
- 11.14
- [공동성명] 정보인권보다 기업이익 앞세운 국회 규탄한다
- 11.13
- 국민 80.3%, 가명정보 동의 없이 기업간 제공 반대
- 11.12
- [공동기자회견] 데이터3법 개악 중단! 사회적 논의 촉구! 노동시민사회단체 공동기자회견
- 경찰법, 경찰관직무집행법 개정안 입법청원, 정보경찰폐지 촉구
- 11.5
- [공동성명] 사회적 합의는 없었다. 정부는 데이터 3법에 대한 거짓말을 중단하라!
- 11.1
- 대규모 감시 위한 얼굴인식 기술에 대한 사용 중단
- 10.31
- [보도자료] 10/31, 통신자료무단제공 SKT, LGU+에 대해 정보열람청구 및 손배소송 대법원 선고 예정
- 10.30
- [토론회] 민생법안 위장한 데이터 3법의 위험과 정보인권 보장에 대한 토론회
- 국가인권위에 정보경찰 관련 경찰법 및 경직법 개정안에 대한 의견 표명 요청해
- 10.29
- 「보안업무규정」 전부개정령안에 대한 의견서 제출
- 10.28
- 사이버 평화와 인간 안보에 대한 시민사회 성명
- 10.25
- [카드뉴스]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 10.24
- [보도자료] 국감넷, 국정원의 민간인 사찰, 국가예산 불법사용에 대한 공익감사 청구
- 10.23
- [보도자료] 헌법불합치 디엔에이법의 개선, 어떻게 할 것인가?
- 정보경찰폐지넷, 국회에 정보경찰 폐지 의견 전달
- 10.18
- [기고] 통신사 vs 구글‧페이스북, 왜곡된 프레임을 넘어
- 10.17
- [논평] 더불어민주당 ‘허위조작정보 종합대책’에 대한 논평
- [공동 논평] 온라인 주민번호(CI, DI) 남용을 우려한다
- 10.15
- [기자회견] 국회에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진상규명 촉구해
- 10.8
- 111개 정보인권단체, 페이스북의 양단간 보안 정책 강화를 요구하는 공개 서신 발송
- 10.7
-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고소·고발 진행
- 10.3
- [연계정보(CI) 정책]에 대한 의견서
- 9.30
- 정보경찰 피해사례 발표 및 정부의 정보경찰 개혁 평가 시민사회 토론회 개최
- 9.24
- [공동기자회견]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진상을 규명하라!
- 9.17
- 트리플 A – 알고리즘에 대한 효과적 조치 | 인공지능, 머신러닝 그리고 젠더
- [토론회]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과 개인 건강/의료정보 및 유전정보에 대한 정보주체 자기결정권 침해 문제와 대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 9.16
- [입법토론회] 헌법불합치 통신비밀보호법의 개선 쟁점과 방향
- 8.29
- [기자회견] 국회는 개인정보의 판매와 공유 허용하는 개보법 개악을 당장 중단하라
- 8.27
- [공동성명] 국정원의 수사 빙자 민간사찰 의혹 수사하라
- [공동논평] 국회는 개인정보 권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보법 개정안 처리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