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우리의 이야기를 원한다, 하지만 먼저 우리의 규칙을 따르게 하자

By | 월간네트워커

이제 사진은 대화와 기록의 다른 방식이다. 디지털 카메라와 폰 카메라는 항상 함께하는 기계, 세상을 바라보는 다른, 표현하지 못했던 내 욕망의 필터이다. 수없이 많은 타인의 필터들을 바라보며 또 다른 삶과 이해의 방식을 배워나간다. 디지털 사진을 통해 이제 사진 속의 시간은 기다림 끝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예측하기 어려운 변화의 가능성을 품고 있는, 지켜볼 수 있는 어떤 것이 되었다.

Read More

'정보 인권과 통신비밀의 보호' 토론회 열려... '통신비밀보호법' 개정 청원 국회에 제출
통신비밀 보호를 위한 인권활동가 토론회 열려…

By | 월간네트워커, 통신비밀

최근 검찰이 출입기자의 휴대폰 통화 내역을 마구잡이로 조회해 물의를 빚었다. 이런 일이 가능했던 것은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에 수사기관이 통화 내역 등 통신사실확인자료를 조회할 때 검사장의 승인만 받으면 되기 때문이다.

Read More

겸찰과 정보통신부… 이미 송·수신된 통신정보는 통신비밀이 아니다
사라져 가는 통신의 비밀

By | 월간네트워커, 통신비밀

대한민국 헌법 제18조는 ‘모든 국민은 통신의 비밀을 침해받지 아니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대부분의 국가에서 통신의 비밀 보호는 국민의 기본권으로 보장해 왔다. 그런데 최근 이 통신의 비밀이 큰 위협에 처했다.

Read More

주민등록번호로 전국민통제시스템 구축 우려… 사용규제는 물론, 개선 방안 마련 필요해
주민등록제도, 더 이상 두고볼 수 없다!

By | 월간네트워커, 주민등록번호, 주민등록제도, 지문날인

민등록증과 지문날인 없는 삶이 가능할까? 박정희 정권이 도입한 강제적 주민등록제도가 세계적으로 희귀한 인권침해적 제도라는 것은 꽤 알려진 사실이지만, 이것 없는 삶을 상상하기는 힘들다. 직장과 은행 등 생활 곳곳에서 끊임없이 주민등록증과 지문날인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Read More

컴퓨터로 시작한 영어 공부 이제는 바다 건너 친구와

By | 월간네트워커

엠에스도스(MS-DOS) 시절, 무슨 말인지도 모르는 영어를 메모지에 적어 놓고 그대로 옮겨 타이핑하면 들어본 적도 없는 나라인 페르시아의 왕자가 나타나 나와 함께 모험을 떠났다.
하지만 간혹 그 왕자를 만날 수 없는 때가 있었는데, 그런 날엔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기호들과 마주해야 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