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 시민단체, 고객정보 무단결합한 기관 및 기업 고발
박근혜 정부의 비식별화 정책을 고발합니다!

By | 개인정보보호법, 소식지

박근혜 정부 비식별화 정책의 실체는 기업들이 정보주체 모르게 개인정보를 마구 거래하기 위한 술책이었습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박근혜정부 때 설립된 비식별 전문기관이 20개 대기업 고객정보 3억 4천여만 건을 고객 동의 없이 결합시켜 주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Read More

복지부, 과정 투명하게 공개하고 적법 처리 위한 법안도 마련해야!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책, 밀실 논의 곤란하다!

By | 개인정보보호, 소식지

개인의료정보 유출 및 판매 행위는 국민들의 건강보험에 대한 불신, 의료인과 환자 간 불신을 부추기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가 건강정보를 보호하는 빅데이터가 아니라, 개인의료정보를 민간기업과 공유하는 빅데이터를 추진하고 있어 시민사회의 우려가 매우 큽니다.

Read More

[공지] '정보인권연구소' 기획 강좌
인공지능, 빅데이터… 신기술이 우리 삶에 미칠 영향은?

By | 소식지, 토론회및강좌

정보인권연구소는 지난 11월 29일부터 기획강좌 <시민을 위한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빅데이터, 인공지능…등 온갖 유행어를 통해 확대 재생산되고 있는 거품과 과장을 제거하고, 신기술이 우리 삶에 미칠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살펴보고,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 찬찬히 생각해보자는 것이지요. 1차 강좌에서는…

Read More

심평원 및 약학정보원 개인질병정보 판매 행위로 본
현 정부 보건의료 빅데이터 추진 전략의 문제점 토론회

By | 개인정보보호법

일시: 2017년 11월 27일(월) 13:30 장소: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   최근 공공기관의 개인진료 및 의료기록 판매 행위가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이 민간보험회사가 영리목적으로 정보를 활용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2014년…

Read More

[해외정보인권]
빅데이터, 인공지능, 머신러닝 및 개인정보 보호

By | 개인정보보호, 인공지능, 프라이버시
편집자 주 : 다른 나라가 개인정보보호법 없이 자유로이 빅데이터를 처리한다는 일부의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빅데이터 시대를 맞아 세계 여러 나라가 개인정보 보호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개인정보 보호법이 없고 의료관련 법률에서...
Read More

[정보인권연구소 기획강좌]
시민을 위한 인공지능 리터러시

By | 인공지능, 토론회및강좌, 프라이버시

강좌신청(클릭) 온오프믹스에서 신청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이겼을 때 많은 사람들이 놀라움과 함께 두려움을 느꼈습니다. 기계가 지배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뒤쳐지면 안된다는 두려움. 대선주자들도 너나할것없이 하루빨리 ‘4차 산업혁명’에 앞서가야 한다고…

Read More

시민단체, 고객정보 3억4천여만 건 무단결합한 비식별화 전문기관 및 20개 기업 고발

By | 개인정보보호법

기자회견 일시 및 장소 : 2017년 11월 9일(목) 오후1시, 서울중앙지검 정문   1. 취지와 목적 2017년 국정감사에서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금융보안원, 한국신용정보원 등 박근혜 정부 때 설립된 비식별 전문기관이 20여개 기업으로부터…

Read More

“규제프리존법·서비스산업발전법 폐기와 생명안전 보호를 위한 공동행동” 출범

By | 개인정보보호법
  무분별한 규제완화, 규제프리존법·서비스산업발전법 즉시 폐기돼야 재벌특혜·정경유착의 결과인 규제프리존법 관련 국회논의 중단하라! 일시 장소 : 2017.11.9(목) 11:00, 광화문 광장(이순신 동상 앞)   국회의 본격적인 입법논의를 앞두고,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프리존의...
Read More

[공동성명] 복지부의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사업’ 일방적 추진에 대한 성명
복지부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책’ 전면 공개·논의하라!

By | 개인정보보호법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가 보건의료 빅데이터 추진에 대한 문제제기를 외면하고 일방적으로 정책을 밀어 붙이고 있다. 시민단체들이 직접 간담회에 참석하여 표한 우려는 물론, 외부에서 제기된 우려도 충분히 청취하고 보완하기보단 절차적 정당성 확보와 거짓 해명에만 몰두하고 있는 모양새다. 복지부는 지난 3월…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