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Governance of ICT: Public interest considerations / 12월 9일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지구적 거버넌스의 환경이 서비스 및 지적재산 등의 무역을 활성화시키는 구조로 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라이오주파수, 위성 및 국제적인 통신에 대한 다각적인 규제환경 등은 시장중심적 구조로 변형되어가고 있다. 이가운데, 정보통신기술(ICT)의 공공적 이익을 반영할 수 있는 구조적 틀의 필요성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이번 행사를 통해서 전문가 그룹과 함께 국제시민사회는 정보사회와 관련된 현재 지구적 정책 구조와 ICT의 공공적 이익 사이의 균형에 대한 논의를 주로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WSIS 공식과정을 비판하고 시민사회의 대안적인 논의구조와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대안회의들 – 커뮤니케이션 권리를 위한 세계포럼 (이번호 인터뷰 꼭지를 참조) 및 WSIS? WE SEIZE! (네트워커 10월호 해외동향 참조) – 도 주목할 만한 행사들이다. 참고: www.wsis-online.net/event
Community Media Forum / 12월 12일 공동체 미디어가 사회적 변화와 공동체의 조직화, 그리고 빈곤의 제거를 위한 주요한 요소임을 강조하고, WSIS 공식 과정에서 공동체 미디어가 배제되고 있음을 비판하며, 공동체 미디어의 법적 공식화를 요구하기 위한 행사이다. 현재 라틴아메리카교육라디오연합(ALER), 공동체라디오세계연합(AMARC) 등의 국제적인 공동체미디어 단체들이 준비하고 있다. 공식 프로그램으로는 WSIS 공식과정과 연관된 논의, 매체와 문화다양성, 라틴 아메리카의 공동체 라디오 사례 발표, 기타 대륙별 사례 발표, 공동체 미디어의 법제화를 위한 원탁 회의 등이 있다.

각종 개인정보의 무한적 집적이라는 유혹에 빠져있는 정부와 자본의 속성과 끊임없이 싸워야 하고, 정보인권이 무수한 가치 중에서 편리성 등 여러 목적의 종속변수로 고려되는 인식의 저급함도 극복해야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름이 있어 아름다운 세상! 인권콘서트가 그리는 세상” 양심수를 위한 시와 노래의 밤에서 시작한 인권콘서트가 15회를 맞았다. 이번 콘서트는 14년 세월 동안 인권을 노래해 왔지만, 여전히 함께 아파하고 위로하고 나누어야 할 사연으로 인해 ‘진정한 인권이란 무엇인가?’ 곱씹어 보는 자리로 마련된다. 특히 비정규노동자, 이주노동자, 양심적병역거부자, 양심수, 성적소수자, 장애인 등 여전히 주목받지 못하는 이들의 사연에 관심을 기울이는 콘서트로 꾸며질 예정이다. 일시 : 2003년 12월 18일 목요일 오후 7시 30분 / 장소 : 장충체육관 “우리가 미디어다!!!”, 대안미디어 시민VJ강좌 비디오게릴라가 되자 – 시민VJ 강좌 퍼블릭액세스와 시민비디오저널리즘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과 수료 후에는 충분한 제작능력을 갖는 것을 목표로 진행 일시 : 12월 18일부터 내년 3월까지 오후 7시부터 9시까지 / 수강료 : 35만원

1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정보사회 세계정상회의(WSIS)가 진행되는 동안, 공식 행사들 이외에도 미디어, 과학, 정보통신기술(ICT), 장애인, 여성 등 여러 가지 이슈에 대해서 국제기구, 정부 및 연구기관, 그리고 시민사회가 주최하는 다양한 부대행사들이 예정되어 있다.
어떤 자본이 다른 자본과 비슷한 기술을 가지고 서로 경쟁하면서 보통 정도의 이윤을 얻고 있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정치경제학에서는 이런 경우 이윤이 노동자들의 잉여노동에서 발생한다고 간주한다. 잉여노동이 이윤의 원천이 되는 것은 노동력이 가지고 있는 특수한 성질 때문이다.
나는 본래 남의 손이 내 몸에 닿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이런 일도 있었다.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의 일이다. 신혼 초니까 당연히 붙어 자는데, 자다 보면 서로 떨어질 때도 있지만 그러다가도 다시 붙이고… 하는 것이 부부 아닌가. 그런데 자다가 어느 결에 마누라의 몸이 내 몸에 닿았다. 나는 소스라치게 놀라 잠에서 깨어 일어났다. 영문을 모르는 마누라도 덩달아 깨서 함께 놀란다. 마누라는 내가 악몽이라도 꾸었는지 걱정이 돼서 무슨 일인지 묻는데 나는 할 말이 없다. 속으로 얼마나 미안하던지… 그런데 이런 ‘사고’는 그 뒤로도 몇 번 더 일어나서 결국 마누라도 그 내막을 알고야 말았다. 마누라는 속으로 “이거 변태 아냐?” 하면서도, 이 남자는 본능적으로 자기 이외에는 다른 여자와 절대 몸을 맞대지 않을 것이라고 안심했는지 엉덩이를 톡톡 두드려주면서 “알았으니까 이제 그만 자” 한다.

개인정보 그 자체가 돈이 되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네트워크가 발달한 정보화사회로 들어오면서 개인정보의 유출문제가 사회적인 파장을 불러왔지만, 사실 그 이전에도 개인정보의 유출은 있어왔다.
우리는 여전히 지문날인거부를 실천함에 있어서 많은 장애를 만난다. 개인의 지문이 이미 전산입력되어 있는 그 많은 개인정보와 결합되기 때문에 개인의 사생활은 지문감식기 앞에서 모두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것. 그래서 지문날인을 강요하는 것은 개인의 사생활과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라는 것. 지문날인을 모든 국민에게 강요하는 것은 온 국민을 범죄자로 취급하는 것이며 아무런 법적 근거가 없다는 것 등. 그 부당성을 열심히 알리지만 정작 사람들은 그것을 심각하게 느끼지 못한다

은 마초 네티즌들은 글을 제대로 읽지 않는다/못한다. 일단 페미니즘적 색채와 주장이 담겨있다면, 그리고 그 모호한 자기편을 비판하는 듯하면 그때부터는 바로 전투태세 돌입이다.

지난 11월 10일 통신위원회(이하 통신위)는 미성년자 통신결제 문제로 엔씨소프트 등 14개 업체에 대한 시정명령을 내리고 이미 지난해 시정조치를 받은 바 있는 넥슨에 대해서는 2천 4백만 원의 과징금을 징수했다.

인터넷을 뒤지다가 찾아낸 종합예술관 쌈지스페이스(SSamzie Space). 98년도 어떤 아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그 결과물로 생겨났고, 신촌에 위치했고, 전시기획 카피도 참신하고, 대부분 연령 낮은 작가를 유치하고… 그야말로 ‘젊음’이라는 단어로 정의할 수 있는 공간이다.

p-virus는 이라크 파병을 반대하는 네티즌들의 사이트로, 이들의 무기는 평화바이러스다. 이라크 파병을 찬성하는 사람들이나 이를 추진하는 정부 각료의 마음속에 각종 평화바이러스를 침투시켜, 이라크 파병을 막겠다는 것이다.

컴퓨터를 전공하다보니 주위에서 컴퓨터를 사는 데 조언을 해달라는 부탁을 많이 받는다. 이번 호에서는 컴퓨터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서 어떤 사양의 컴퓨터를 골라야 할 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

이 사람들은 매킨토시컴퓨터라는 걸 쓰는 이들이다. 많은 이들이 컴퓨터그래픽 전용 컴퓨터쯤으로 여기는 매킨토시는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개인용 컴퓨터(PC)를 만든 미국 애플컴퓨터사에서만 만들어내는 기계다. 그러니까 매킨토시는 무조건 미제다.

이제 사진은 대화와 기록의 다른 방식이다. 디지털 카메라와 폰 카메라는 항상 함께하는 기계, 세상을 바라보는 다른, 표현하지 못했던 내 욕망의 필터이다. 수없이 많은 타인의 필터들을 바라보며 또 다른 삶과 이해의 방식을 배워나간다. 디지털 사진을 통해 이제 사진 속의 시간은 기다림 끝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예측하기 어려운 변화의 가능성을 품고 있는, 지켜볼 수 있는 어떤 것이 되었다.

통신의 비밀 보호가 심각한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은 우리나라에서만의 일이 아니다. 9.11 테러 이후 세계 여러 나라에서 통신의 비밀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