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개방적 인터넷을 지지하며
검열과 감시에 맞서 정보인권을 지킵니다.
정보인권 타임라인
- 2025
- 4.9
- type해외정보인권 – 마이크로소프트의 한 직원의 편지
- 4.8
- 표현의자유[연명요청] 정윤석 다큐멘터리 감독의 무죄를 요구합니다
- 4.7
- 인터넷거버넌스, 토론회및강좌[웨비나] 국제 디지털 거버넌스 논의 동향과 한국의 대응 방안
- 4.6
- 입장[성명] 윤석열 파면을 환영합니다. 디지털 세상에도 인권과 민주주의가 보장되는 세상을 함께 만들겠습니다.
- 4.4
- 입장[성명] 비상계엄선포로 온 국민의 인권을 침해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었다. 내란 우두머리와 그 공범들을 옹호한 국가인권위원들도 시민들은 이미 파면했다.
- 4.2
- AI, 의견서, 입장[보도자료] 시민사회단체, 과기부에 「인공지능기본법」 시행령에 담겨야 할 사항 의견 제출
- 3.27
- 입장[성명] 특별심사 대상이 된 국가인권위원회, 그 자체가 치욕이다!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과 원인 제공자들은 즉각 사퇴하라!
- 3.21
- 소식지, 월간네트워커네트워커 183호
- 3.18
- AI, 빅테크, 인공지능, 토론회및강좌[웨비나] 알고리즘은 어떻게 민주주의를 왜곡하는가
- 3.12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유출, 빅테크[성명] 개인정보위 vs 메타 행정소송 대법원 선고 예정, 메타의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도 인정해야 마땅하다.
- 3.6
- English, 입장, 표현의자유[Press Release] German broadcasters ARD and ZDF should apologize to Korea and the Korean people “The Whole World Is Watching”
- type, 입장, 표현의자유[성명] 독일의 공영방송 ARD와 ZDF는 한국 시민들에게 사과하라
- 2.28
- AI, 소식지[해외정보인권] 곧 발표될 AI법 시행에 관한 집행위원회 가이드라인의 핵심은 인권과 정의여야 합니다.
- 2.27
- AI, 자료실, 자료집이슈리포트 <주요 분야 인공지능 정책 및 이슈 연구 : 공공, 법집행, 교육, 사회복지 분야> 발간
- AI, EnglishIssue Report <Research on AI policy and Issues in Key Areas in South Korea : Public Sector, Law Enforcement,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Published
- 2.26
- AI, 입장“사람과 지구를 위한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인공지능” 선언이 허언이 되지 않으려면 “바닥을 향한 규제완화 경쟁” 멈추어야
- 2.21
- 입장, 표현의자유[성명] ‘사회 혼란 야기’를 이유로 풍자물 차단하는 방심위의 위헌적 정치 검열을 규탄한다.
- 2.18
- 입장[공동성명] 국가인권위원회는 내란보호위원회가 아니다. 권력 말고 시민을 보라 !
- 입장[보도자료] 아시아 인권단체 및 인권기구 감시 네트워크, 인권위의 윤석열 방어권 보장 권고안 철회 촉구 성명 발표
- 2.10
- 소식지, 월간네트워커네트워커 182호
- 입장[기자회견]”헌법과 국제인권법 위반 비상계엄 선포, 모든 시민이 인권침해 피해자다”
- 2.7
- AI, 토론회및강좌세미나 <인공지능 시대 민주주의 과제>
- 2.5
- 국제협약, 정보문화향유권, 토론회및강좌[세미나] 인권의 관점에서 지적재산권 체제의 재구성
- AI[성명] “졸속 추진 AI 디지털교과서 강행” 최상목 권한대행의 거부권 행사를 강력히 규탄하며 국회에 시급한 입법을 촉구한다.
- 1.24
- 개인정보, 입장[공동성명] 구글, 메타의 개인 행태정보 불법수집을 인정한 법원 판결 환영한다!
- 1.22
- AI, 토론회및강좌제2회 시민사회포럼 “AI 민주주의와 영향을 받는 사람의 권리” 개최
- 개인정보, 입장국외에서는 개인정보, 한국에서는 비개인정보?
- 1.13
- 입장[기자회견] 인권위의 파행을 넘어 몰락이다. 반인권적인 비상계엄 동조안건 철회하라!
- 1.9
- 입장[성명] 파행을 넘어 인권위의 몰락이다. 인권위는 비상계엄 동조하는 안건 상정 즉각 철회하라!
- 1.2
- 입장, 통신비밀, 통신자료, 프라이버시[공동논평] 윤석열 정부 국정원의 통신감시 증가 이유 밝혀져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