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넷, 국회가 진상규명해야 할 5대 과제 발표
[기자회견] 국회에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진상규명 촉구해

By | 입장, 통신비밀

ⓒ 경향신문. 권도현 기자 국회에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진상규명 촉구해 국감넷, 국회가 진상규명해야 할 5대 과제 발표 국정원감시네트워크(이하 국감넷)는 오늘(10/15) 국정감사가 진행중인 국회 앞에서 국가정보원(이하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진상규명에 국회가…

Read More

전⋅현직 국정원장, 기조실장, 경기지부장 및 소속 수사관 등 15명 국가정보원법 위반(직권남용) 등 혐의로 형사 고소·고발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고소·고발 진행

By | 소송, 통신비밀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고소·고발 진행 전⋅현직 국정원장, 기조실장, 경기지부장 및 소속 수사관 등 15명 국가정보원법 위반(직권남용) 등 혐의로 형사 고소·고발 언론보도와 국정원감시네트워크가 지난 9월 24일 발표한 진상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Read More

정보경찰 피해사례 발표 및 정부의 정보경찰 개혁 평가 시민사회 토론회 개최

By | 입장, 통신비밀

인권·시민단체들,정보경찰폐지넷 발족 정보경찰폐지넷 정보국 해체, 정보경찰 폐지 촉구 오늘(9/30) 인권·시민사회단체들은 참여연대 아름드리홀에서 토론회를 진행했다. 이번 토론회에서 인권·시민사회단체들은 정보경찰폐지인권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이하 정보경찰폐지넷)를 발족하고 정보경찰 폐지를 위해 활동해 나갈 것을 밝혔다. 정보경찰폐지넷은 ▶정보경찰이 저지른…

Read More

[공동기자회견]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진상을 규명하라!

By | 입장, 통신비밀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진상 규명 촉구 국감넷, 국정원 ‘프락치’ 공작사건 진상조사 결과 발표 민간인 사찰, 국가보안법 사건 조작, 성매매 등 위법행위 드러나 국정원감시네트워크(이후 국감넷)와 국가정보원 ‘프락치’ 공작사건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오늘(9/24,…

Read More

뉴스레터 통권 119호

By | 소식지

불타는 활동의 연대기 <프라이버시/> 민간인 프락치, 공안 조작 사건, 국정원은 변하지 않았다 지난 8월 26일, 한 언론사의 보도에 따르면 국가정보원이 수사를 빙자해 민간인 정보원(소위 프락치라 불리우는)을 이용해 평범한 시민들을 사찰해왔다는…

Read More

불타는 활동의 연대기 201909

By | 소식지
</> 정보인권 국정원 해킹사건이 무혐의? 납득할 수 없는 처분 2015년, 국가정보원이 이탈리아 '해킹팀'(Hacking Team)으로부터 불법적인 해킹프로그램 RCS(Remote Control System)를 구매하여 내국인을 상대로 사용, 사찰한 정황이 드러났던 사건 기억하시나요? 당시 진보네트워크센터,...
Read More

[해외정보인권]Triple A: Affirmative Action for Algorithms |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 Gender: A concrete Call to Action
[해외정보인권] 트리플 A – 알고리즘에 대한 효과적 조치 | 인공지능, 머신러닝 그리고 젠더

By | 소식지, 인공지능
편집자주 : Women@theTable은 스위스의 여성단체로, 더 많은 여성들이 통치, 경제, 기술, 지속 가능성, 평화에 관한 의사결정 테이블(decision-making table)에서 더 많은 목소리, 더 많은 좌석, 더 많은 영향력을 가질 수 있도록...
Read More

[토론회]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과 개인 건강/의료정보 및 유전정보에 대한 정보주체 자기결정권 침해 문제와 대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By | 개인정보보호, 토론회및강좌

[토론회]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과 개인 건강/의료정보 및 유전정보에 대한 정보주체 자기결정권 침해 문제와 대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 토론회 개요 일시 : 2019년 9월 18일(수) 오전 10시 장소 : 국회의원회관 제7간담회의실…

Read More

[입법토론회] 헌법불합치 통신비밀보호법의 개선 쟁점과 방향

By | 토론회및강좌, 통신비밀

2018년 통신비밀보호법에 대한 세 건의 헌법불합치 결정이 있었습니다. 기지국수사, 실시간 위치추적, 인터넷회선(패킷)감청 사건들에 대한 결정에서 헌법재판소는 개선입법의 시한을 2020년 3월 31일로 제시하였습니다. 이에 오는 18일, 통신비밀보호법의 올바른 개선 필요성에 공감해…

Read More

뉴스레터 통권 118호

By | 소식지

불타는 활동의 연대기 <프라이버시/> 유엔 프라이버시 특보, 한국 정부에 개선 권고 유엔 프라이버시 특별보고관 조셉 카나타치(Mr. Joseph CANNATACI,UN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Privacy)가 공식 한국 방문을 마치고 돌아갔습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