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 20일 기자회견 개최하고 질의서 접수
[보도자료] 통신이용자정보 무차별 조회, 검찰은 정확한 정보와 진상 공개해야

By | 입장, 통신비밀, 통신자료

1. 취지와 목적 ● 올해 1월 4-5일경 서울중앙지검 반부패 수사1부(당시 부장검사 강백신)가 뉴스타파의 김만배 신학림의 인터뷰 관련 윤석열 대통령 명예훼손죄 수사를 하면서 3천여 명의 통신이용자정보를 조회를 하였습니다. 이 같은 사실은…

Read More

3천여 명이 전부인가? 책임자는 누구인가? 검찰은 정확한 정보와 진상을 공개하라
[보도협조] 통신이용자정보 무차별 조회 검찰 규탄 및 진상규명 공개질의 기자회견

By | 입장, 통신비밀, 통신자료

1. 취지와 목적 ● 올해 1월 4-5일경 서울중앙지검 반부패 수사1부(당시 부장검사 강백신)가 뉴스타파의 김만배 신학림의 인터뷰 관련 윤석열 대통령 명예훼손죄 수사를 하면서 3천여 명의 통신이용자정보를 조회를 하였습니다. 이 같은 사실은…

Read More

수사기관은 수사과정에서 기본권 보호해야 할 의무 있어
[보도자료] 통신이용자정보조회, 검찰의 적법절차 원리 따랐다는 해명은 아전인수

By | 입장, 통신비밀, 통신자료

1. 취지와 목적 ● 최근 언론보도에 따르면 검찰이 3천여 명에 달하는 언론인, 정치인 및 이들과 통화한 일반시민 등의 통신이용자정보인 이름, 주소, 주민등록번호를 ‘윤석열 대통령의 명예훼손죄’ 수사 명목으로 수집했다는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Read More

검찰의 광범위한 통신이용자 정보 수집에 대해
[공동논평] 국회는 시민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전기통신사업법 개정하라!

By | 입장, 통신비밀, 통신자료
[공동논평] 국회는 시민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전기통신사업법 개정하라! - 검찰의 광범위한 통신이용자 정보 수집에 대해 지난 8월 2일(금)부터 오늘까지도 검찰에 의한 통신이용자정보(이하 통신자료)제공 사실을 통보받은 언론인, 언론운동 활동가, 인권운동가,정치인, 노동운동가, 일반...
Read More

자본금 1억에 민감한 개인정보인 유통정보 해외사업자에게도 제공가능
[공동성명] 정보주체 권리 외면, 개인정보 무분별한 유통 조장 마이데이터 사업 중단하라

By | 개인정보, 입장
[공동논평] 정보주체 권리 외면, 개인정보 무분별한 유통 조장 마이데이터 사업 중단하라 - 자본금 1억에 민감한 개인정보인 유통정보 해외사업자에게도 제공가능 - 소비자·시민단체 쇼핑에 따른 주문정보, 지불정보, 배송정보 등 마이데이터 사업자 제공...
Read More

학습 데이터 공개, 개인정보 영향평가 등 정보주체 권리 보호조치를 강화하라
[공동논평] AI 개발을 위한 공개된 개인정보의 무분별한 활용을 우려한다

By | AI, 입장
[공동논평] AI 개발을 위한 공개된 개인정보의 무분별한 활용을 우려한다 - 학습 데이터 공개, 개인정보 영향평가 등 정보주체 권리 보호조치를 강화하라 - 연구목적 활용 동의 강제하는 플랫폼 기업 단속하라 지난 7월...
Read More

- 국회는 인공지능법에 인권영향평가 수행을 의무화하라
[공동논평] 국가인권위의 인공지능 인권영향평가 도구 발표를 환영한다

By | AI, 입장
[공동논평] 국가인권위의 인공지능 인권영향평가 도구 발표를 환영한다 - 국회는 인공지능법에 인권영향평가 수행을 의무화하라 지난 7월 8일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인권위는 2024년 5월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인공지능의 개발과 활용으로 인한 인권침해...
Read More

[보도자료]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 문제 해결 위한 「온라인플랫폼법」 발의 공동기자회견

By | 입장

오늘(7/5)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소상공인위원회, 국회의원 박주민·유동수·강준현·민병덕·오기형·김남근·이강일와 함께 중소기업중앙회, 소상공인연합회, 프랜차이즈산업협회, 한국소비자연맹, 한국소비자단체연합, 소비자시민모임, 소비자와함께, 진보네트워크센터,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 달앱공정화사장모임,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민변 민생경제위원회,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전국가맹점주협의회·수리용역수탁사업자협의회, 한국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연합회 등 110여 개 단체는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 문제…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