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자료 무단수집 헌법소원 청구인 공개모집

By | 의견서, 통신비밀, 통신자료, 프라이버시, 헌법소송

테러방지법 논란 이후 통신자료 공동대응 캠페인에 지금까지 6백여 명의 시민·노동자들이 참여하였습니다. 3월 29일, 공동대응 단체들은 긴급좌담회를 개최하고 1차 집계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국회의원, 변호사, 언론인, 노동자, 활동가, 평범한 직장인까지 광범위한 피해가 드러났습니다. 우리 단체들은 통신자료에 대한 첫번째 법적 대응으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기로 결정하고, 청구인을 공개모집합니다.

Read More

[의견서] 신원불상변사자 디엔에이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보호에 관한 법률안에 관한 의견

By | 생체정보, 의견서, 프라이버시

디엔에이법의 목적은 범죄수사 및 범죄예방임. 이에 반해 제정안의 목적은 신원불상변사자의 신원을 확인임. 이와 같이 서로 상이한 목적으로 제정된 법임에도 불구하고, 범죄수사 및 범죄예방을 위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신원불상변사자의 디엔이에이신원확인정보를 연계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모든 신원불상변사자를 잠재적인 범죄수사 대상자로 전락시키는 것으로 제정안의 목적을 넘어는 것임

Read More

진보네트워크센터 외 4개 단체, 반박 설명문 발표
<국정원의 ‘테러방지법 바로알기’에 대한 바로알기>

By | 의견서, 통신비밀, 패킷감청, 프라이버시

국정원이 지난 3월 3일 발행한‘테러방지법 바로알기’에 대해 민주주의법학연구회, 인권운동공간 ‘활’, 인권운동사랑방, 진보네트워크센터, 참여연대는 공동으로 <국정원의 ‘테러방지법 바로알기’에 대한 바로알기>를 함께 발행했다. 국정원의 ‘테러방지법 바로알기’역시 새누리당의‘테러방지법’ 관련 Q&A와 이철우 의원 2차 Q&A와 마찬가지로 핵심적인 우려사항은 축소, 누락하고 ‘대테러활동’을 위해서는 자신들의 권한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왜곡된 주장을 펼치고 있다.

Read More

새누리당의 ‘테러방지법’ 2차 Q&A에 대한 시민사회단체 재반박문 발표

By | 의견서, 통신비밀, 패킷감청

(지난 2월 28일 발행)에 대해 새누리당 정책위의장 이철우 의원이 (이하 이철우 2차 Q&A>를 발표(3월 2일)한 것에 대해, 민주주의법학연구회, 인권운동공간 ‘활’, 인권운동사랑방, 진보네트워크센터, 참여연대는 공동으로 시민사회단체의 2차 반박문, 을 발행했다. 또한 국정원이 지난 3월 3일 발행한‘테러방지법 바로알기’에 대해 시민사회단체 반박문, 도 함께 발행했다.

Read More

새누리당의 ‘테러방지법’ 오해와 진실 Q&A에 대한시민사회단체 반박

By | 의견서, 통신비밀, 패킷감청

오늘(2/28) 민주주의법학연구회, 인권운동공간 ‘활’, 인권운동사랑방, 진보네트워크센터, 참여연대는 공동으로 을 발행했습니다. 새누리당은 어제(2월27일) 낮에 “국민의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테러방지법’ Q&A를 배포했다고 하지만, 실상 그 내용은 국민을 오히려 속이고 있습니다.

Read More

[참고] 테러방지법안 ‘찬성’ 대한변협 명의 의견서 비판 공익변호사 59인 입장

By | 의견서, 통신비밀, 패킷감청, 프라이버시

2월 24일 대한변협(회장 하창우)이 정부와 여당이 제시한 ‘테러방지법안’에 대해 찬성하는 의견서를 새누리당에 제출한 바 있습니다 . 이에 대해 대한변협 소속 회원이면서 공익인권 옹호 활동을 하고 있는 59인의 변호사들의 공동성명을 소개합니다.
절차적으로도, 내용적으로도 잘못된 것임을 강조하였습니다.

Read More

[기자회견] 주민번호 성별 표시 항의 기자회견 및 인권위에 진정서 제출
주민등록번호 성별표시 국가인권위 차별 진정

By | 민원, 의견서, 입장, 주민등록번호, 주민등록제도, 프라이버시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소수자인권위원회,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전국성폭력상담소협의회, 진보네트워크센터,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단체연합 등 여성·성소수자·인권단체들은, 도입 40여 년 만에 이루어질 주민등록번호 체계 변경에 있어 성별번호를 삭제하고 임의번호를 도입해야 한다는 취지로 오는 27일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하고 기자회견을 갖습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