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타는 활동의 연대기 201904

By | 소식지
</> 정보인권 세월호 참사 수사 중 시민들을 무작위로 감청한 기무사 세월호 참사 당시, 기무사가 수사를 위해 자체 장비뿐 아니라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정보기술통신부)가 관리하는 전파관리소까지 이용해 시민들의 통화 내용을 무작위로 감청했다는 정황이...
Read More

회원 인터뷰 : 진보넷을 지지합니다
활동가 ‘김민’ 님

By | 소식지

안녕하세요. 진보넷에서 활동하게 된 김민이라고 합니다. 저는 평범하게 하루 하루를 살아가던 사진가였습니다. 밖에 나가있는 시간보다 인터넷에 접속해있는 시간이 더 많고,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열심히 글을 쓰고 사진을 올리고 새로운 서비스와 도구가 나올 때마다 그 멋진 기술에 감탄하며 유토피아까지 상상하던 순진한 사람이었죠. 현실은 이미 디스토피아라는 걸…

Read More

뉴스레터 통권 113호

By | 소식지
불타는 활동의 연대기 <프라이버시/> 주민번호 보호 무력화가 규제 샌드박스의 목적인가? 지난 2월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정보통신융합법)’에 근거하여, 첫 ICT 규제 샌드박스 사업을 지정하였습니다. 이에...
Read More

[연재] 우리는 인터넷에서 자유를 발견했다
가진 자가 주도하는 보호협약, 과연 옳은가?

By | 소식지

특허, 저작권 등 지적재산권 제도는 각 국가의 법률에 따라 운영된다. 그러나 각 국가의 법률은 국제 협약이나 협정의 영향을 받게 된다. 미국, 유럽 등 지적재산권을 보유한 선진국들은 전 세계적인 지적재산권 제도의 통일과 강화를 통해 자국의 이익을 확대하려 하고 있다. 혹은 선진국의 정보통신, 문화, 제약 기업들이 국제 협약에 대한 로비를 통해 국제적인 기준을 형성하고, 이를 역으로 국내법에 반영하려고 하고 있다. 지적재산권 제도가 형성되는 초기에는…

Read More

[해외정보인권] Declaration on Ethics and Data Protec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윤리 및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선언

By | 소식지, 인공지능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우리에게 중립적이고 장밋빛인 미래만 약속한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불행히도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도입하고 사용하는 것은 탐욕스런 인간입니다. 규제완화를 주장하는 이들은 딥러닝 인공지능이 블랙박스라서 인간이 설명할 수 없고 통제도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인공지능이 국민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

Read More

에마누엘 피에라 『검열에 관한 검은 책』 서평
[함께 읽는 정보인권] 현대사회의 검열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By | 소식지

검열은 매우 오래전부터 존재했고, 표현의 자유가 헌법에 명시된 지금도 어디에나 존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조선시대에 왕권모독죄와 풍기문란죄에 해당하는 내용이 담긴《설공찬전》이 금서로 지정되는가 하면, 최근에는 국방부 불온서적 리스트와 같은 형태의 검열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검열이 있는가 하면, 인식하기 힘든 부류의 검열도…

Read More

불타는 활동의 연대기 201903

By | 소식지
</> 정보인권 방송통신위원회와 미디어 시민단체 간담회 개최 '이데일리' 기사 지면 지난 3월 13일(수), 방송통신위원회 이효성 위원장과 10개 미디어 시민단체의 간담회가 있었습니다. 지난 1월 23일, 진보넷을 비롯한 미디어 시민단체는 기자회견을 열어...
Read More

김주완 공저 『대한민국 사생활의 비밀』 서평
[함께 읽는 정보인권] “네가 무엇을 하는지 다 알고 있다!”

By | 소식지

들뢰즈는 현대사회를 통제(훈육)사회에서 ‘관리사회’로 전환하고 있다고 진단하였다. 관리사회에서는 감금이 아니라 끊임없는 관리와 실시간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으로 움직여진다. 정보 통신의 눈부신 발달 이면에는 이러한 ‘관리사회’라는 거대한 음모가 도사리고 있다. 그리고 최근 이러한 이면들을 낱낱이 고발하는…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