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유] GNU Project

By | 대안적라이선스, 자료실

GNU 프로젝트
리차드 스톨만

이 글은 처음에 “오픈 소스”라는 책에 포함되어 출판되었던 것입니다.

[ English | Italian | Korean | Russian | Spanish ]

소프트웨어를 공유했던 최초의 공동체
MIT 대학의 인공지능 연구소에서 일하기 시작했던 1971년부터 나는 소프트웨어를 공유하는 공동체의 일원이 되기 시작했다. 이 공동체는 이미 수년 전부터 존재하고 있던 것이었으며 MIT에만 유일하게 존재하는 특별한 것은 아니었다. 요리법을 공유하는 것이 요리의 역사만큼 오래된 것처럼, 소프트웨어를 공유하는 것은 컴퓨터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들은 소프트웨어를 공유해 나가는 더욱 이상적인 우리들만의 공동체를 MIT에서 만들어 나갔다.

인공지능 연구소에서는 ITS (Incompatible Time-sharing System)라고 불리는 시분할(time-sharing)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ITS는 당시에 사용되

Read More

[정보화] 네그리의 ‘사회적 노동자’론에 기반한 정보경제에 대한 일 분석/

By | 외부자료

네그리의 ‘사회적 노동자’론에 기반한
정보경제에 대한 일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김 진 영 1 9 9 8년 12월 일

본 논문은 안토니오 네그리의 현대사회 이론에 기반하여 정보경제의 확장에 따른 새로운 부창출 양식을 규명하고 그 원천으로서의 새로운 계급구성을 확인하려는 시도이다. 네그리에 따르면, 현 시기는 대중노동자(포디즘) 시기에서 사회적 노동자(포스트포디즘) 시기로 전환된 자본의 실질적 포섭 국면으로, 사회전체가 자본의 이윤추출을 위한 공장으로 화하였고 생산은 사회적인 것으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생산의 노동주체를 ‘사회적 노동자’로 명명하며,이들은 노동특성과 계급구성에 있어 새로운 모습을 보인다. 자본은 더 이상 임금만을 중심으로 착취하는 것이 아니며, 지적 협동, 커뮤니케이션 공동체를 착취한다. 소프트웨어나 네트웍 상의 D/B같은 정보상품들이 생산되는 과정은

Read More

[정보공유] Copyright? Copyleft? /최승우

By | 대안적라이선스, 자료실

『프론티어 플라자-과학의 뒤안길/최성우,송호찬 (go FLAZA)』 155번
제 목:[과학단상] “Copyright? Copyleft?”
올린이:hermes21(최성우 ) 99/03/05 04:00 읽음:165 관련자료 없음
———————————————————–
“역사 속의 카피레프트”에 관련해서 글을 하나 올리려 보니, 저 아래에
Patsong님의 “카피레프트” 글도 있군요. 또, comenius님도 최근에 이와
관련된 문제에 관심이 있다고 하신걸로 압니다. 저는 변리사도 아니고, 과
학사가도 아닙니다만, 저도 꽤 오래 전부터 한번 언급했으면 하는 문제여
서, 나름대로 써 보았습니다.
———————————————————–
Copyright

Read More

[정보공유] 음악과 저작권

By | 자료실, 저작권

음악 저작권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참고자료로 올립니다.

http://my.dreamwiz.com/lutain/marketing/marketing5.htm
에 올라와 있는 음악의 경제학(1)-(10)을 올립니다.
artmanagexx.html

http://ns.musesoft.co.kr/muse/html/popnews.html에 올라와
있는 음악과 저작권(1)-(12)를 올립니다.
news_xx.html

Read More

[정보화] 미국 민주당 중도파의 디지털(신)경제 비판

By | 자료실

신민주당운동으로 대표되는 클린턴/고어 그룹은 미국 민주당에서도 가장 우파 진영이라지요. 신민주당운동 움직임에 대해 처음부터 매우 비판적이었던 민주당 내 좌파와는 달리, 민주당 중도파는 1992년 클린턴/고어 정부 출범시 비판을 자제하고 어느 정도 기대를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1992-1996 클린턴/고어 정부를 지내면서 이들 역시 클린턴/고어 정부가 월스트리트와 대기업의 눈치만 보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하게 됩니다. 보다 철저한 누진 과세를 통한 부의 공정한 재분배, 대기업에 대한 각종 특혜(이른바 기업복지corporate welfare) 폐지, 국방 예산의 감축, 노동법의 독소조항 폐지와 노조 조직률 확대를 통한 조직 노동자의 교섭력 강화, 최저임금 증가, 노동자 및 실업자 기술교육/직업 재훈련 확대, 중하층/하층에 대한 의료보험/복지/교육지원 확대, 공공부문에 대한 투자 확대 등 미국 민주당의 진보적(liberal) 전통을 배신하고 있다는 것이죠. 이들은 디지털(신)경제에 대해서도 이것이 가져

Read More

[정보공유] “정보사회와 평등”민주주의법학연구회 심포지움-정의·평등과 거

By | 자료실, 정보문화향유권

진보정치 6호에서 퍼왔습니다.
http://www.kdlpnews.org/

“정보사회와 평등”민주주의법학연구회 심포지움-정의·평등과 거리먼 “지적재산권법”

“만국의 PC사용자들이여 단결하라”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에 오직 자신이 구입한 정품소프트웨어와 무료로 배포되는 프리웨어만 설치돼있다고 자신있게 말할 피시 사용자가 얼마나 될까.
사회구성원 다수를 범법자로 만드는 저작권법을 제대로 ‘준수’하기 위해서 우리는 단지 윈도우98, 워드프로세서, 표계산 프로그램만 구입하려해도 웬만한 하드웨어 구입가격에 맞먹는 비용지출을 감수해야 한다. 다른 컴퓨터 사용자가 설치한 정품을 빌려서 설치하는 것도 소프트웨어는 “판매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 사용이 허가되는 것”이라는 저작권법의 정신에 따라 불법에 해당한다.

국가기관 특정프로그램 강요

지난 4월 29일 이화여대 헬렌관에서 열린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00년 상반기 정기심포지움에서 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한 서경대 김도현 교수

Read More

[정보화] 신경제:가상에서 현실로(르몽드디쁠로마띠크)

By | 자료실

http://www.ilemonde.co.kr/ 에서 퍼왔습니다.
이제 르몽드 디쁠로마띠끄를 한국어로 볼 수 있군요.
——————————————————————
신경제 : 가상에서 현실로

– 이그나시오 라모네 –
(르몽드 디쁠로마띠끄 주필)
2000년 5월

우리는 칼 맑스의 다음과 같은 얘기를 알고 있다 : “나에게 풍차를 준다면 난 당신에게 중세(中世)를 주겠소”. 우리는 이말을 환언해서 “나에게 증기기관차를 준다면 산업사회를 주겠소” 라고 덧붙일수 있을 것이다. 아니면 현시대에 적용해서 “나에게 컴퓨터를 준다면 세계화를 줄것이오” 라고 할수도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정의들은 분명히 과장된 것이기는 하지만, 다음과 같은

Read More

[정보공유] 인터넷 지재권에 관한 자료들

By | 자료실, 정보문화향유권

다음은 정상조 교수 홈페이지 자료실
(http://plaza.snu.ac.kr/~sjjong/자료실/내용.htm)
에 올라와 있는 자료중

를 올립니다.

다양한 사례들이 번역되었고/의견도 올라와 있습니다.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1.저작권 침해에 대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Youngjoon.hwp
2.컴퓨터 관련 발명의 특허법적 보호 : statestreetbank.hwp
3.미국 개정 저작권법과 우리법제에서의 기술조치 보호 : dmca.hwp
4. Meta-tags와 상표권 침해 :meta.hwp
5. Spamming : spamming1.hwp
6. framed link : 2차발표문.hwp
7. 홈페이지에 있어서의 링크와 저작권 :link.hwp
8. Domain Name과 상표의 희석화 : 상표의 희석화.hwp
9. 지적재산권에 대한 대안들: 3차 발표문.hwp
10. Microsoft사의 Internet Explorer 끼워팔기에 대한 국내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