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1일부터 25일까지 유네스코의 국제교육기획연구소는 자유소프트웨어 및 오픈소스소프트웨어에 대한 온라인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최근 프랑스, 아일랜드, 영국 그리고 스웨덴은 공동으로 유럽 4억5천만 국민들의 통신기록데이터를 저장하는 새로운 시행령을 유럽연합에 제안했다. 이 시행령에 따르면 데이터를 12개월에서부터 36개월까지 보관할 수 있다.

모잠비크 정부는 ‘파코모잠비크’ 제약사에게 에이즈 치료약 특허권에 대해서 강제실시권을 부여했다.

지난 5월 23일 미국의 전자개척자재단(이하 EFF)은 미국시민자유연합(ACLU)이 진행 중인 국가안보서한(NSLs) 위헌 소송을 지지한다는 내용의 법정조언자 보고서를 제출했다.
인터넷은 조직에서 전개되는 수직적 인간관계를 수평적으로 완화하는 데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자체는 기술적으로 수직적 관계에 의해서만 운영되는 자가당착에 빠져있다.

남자다움은 장사가 된다. 남자다움이라는 실체도 없는 말에 털 난 가슴에 설레는 뭇 남성들이, 기꺼이 바지춤을 뒤져 돈을 낼 것이다. 그래서 이라는 플롯도 없는 만화가 꾸준히도 나올 수 있었나 보다.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구호가 있다. ‘미래 세대의 필요 충족 능력의 감소 없이 현 세대의 필요 충족을 보장하게끔 인류는 발전을 지속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가 이 구호의 이면에 들어앉아 있다. 간단히 말해 환경을 보전하면서 발전을 계속 가져가자는 것이 이 구호의 의미다. 그런데 그게 과연 가능할지는 의문이다.
컴퓨터에 쓰이는 이 훌륭한 글꼴들을 발명한 사람들은 그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는 것일까? 혹은 글자는 인류의 공동자산이므로 다른 사람이 보다 쉽게 이용하게 하는 것이 좋을까?
온라인에서의 전략과 사업을 구상하는 NGO들이 언제까지나 외부 업체와의 협상이나 자원봉사자의 확보만을 떠올릴 수는 없는 일이다. NGO의 시각에서 필요한 온라인/사이버스페이스의 활용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갖고,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를 축적해 나갈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엑스윈도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 X11은 도스와 같은 문자 위주의 유닉스 운영체제에 윈도처럼 그래픽 중심의 기능을 추가해 주는 것이다. 유닉스 쪽에서 널리 쓰이는 이 X11의 매킨토시판이 맥오에스텐에 들어있다. 이 덕분에 유닉스나 리눅스 프로그램을 훨씬 쉽게 매킨토시용으로 바꿔 쓸 수 있게 됐다. 매킨토시 사용자들은 유닉스용으로 나와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더욱 쉽게 접할 수 있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