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순 오래된 순
- 2025
- 9.29
- EU는 사람과 환경을 보호하는 규칙을 약화시키고 있다
- 9.26
- “진정성 있는 의견수렴으로 인공지능 위험으로부터 영향받는 시민을 보호해야”
- 9.23
- [공동성명] 국가인권위원회는 박선영 진화위원장 인권상 후보 추천 당장 철회하라
- 9.18
- [공동성명] 빅데이터·AI 시대 더욱 커지는 개인정보침해 위험, 보호 의지 강한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이 필요하다
- [공동성명] 언론개혁 입법, 속도가 아닌 소통을 요구한다
- 9.17
- [보도협조] GPA 시민사회 세션 ‘AI 위험성과 개인정보 영향평가의 과제’ 개최
- 9.15
- [공동성명] 정부 여당은 개인정보보호법 완화, 우회하는 데이터산업법 개정 추진을 중단하라!
- 9.11
- [보도자료] 국회토론회 <빅데이터·AI 시대 개인정보보호 어떻게 할 것인가> 개최
- 9.9
- 국정원의 조직적인 내란 가담 철저히 수사하라
- [성명] 시민사회와 영향받는 사람 배제한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다시 구성하라
- 9.5
- [토론회] “빅데이터·AI 시대 개인정보보호 어떻게 할 것인가”
- 9.4
- [토론회] 안창호 취임 1년, 국가인권위원회 굴욕과 몰락의 시간
- 9.3
- [공동성명] 시청각미디어통신심의위원회, 표현의 자유 옥죄는 행정 심의기관 될 것
- [공동논평] 인공지능기본법 시행유예안 반대한다
- 9.2
- [보도자료] 인권위 정상화를 위한 국가인권위원회법 개정안 인권단체 기자회견
- 8.29
- 네트워커 188호
- Full disclosure: Marking a legal victory for big tech transparency in South Korea
- [해외정보인권] 인도-파키스탄 갈등 속 허위정보와 온라인 폭력이 확산되는 가운데, 기술 플랫폼의 무대응을 규탄한다
- 8.25
- [보도자료] 스크래핑 등 자동화된 도구 이용한 공공데이터 등 수집은 전송요구권 대상 아냐
- 8.12
-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시대, 정보주체 권리 보호 위한「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발의
- 8.11
- [취재협조]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시대, 정보주체 통제권 보장 위한「개인정보보호법개정안」발의 기자회견
- 8.1
- 국가인권위원장 자격 없는 안창호씨 고발 및 진정 기자회견
- 7.31
- 네트워커 187호
- 7.24
- AI법안의 지연 및 재개정에 반대하는 공개 공동서한
- 7.22
- [보도자료] 유엔 프라이버시 특별보고관, “영장없는 통신이용자정보 수집은 국제인권법 위반, 개선해야” 한국정부에 혐의서한 발송
- 7.18
- [성명] 개인정보 가명처리에 대한 정보주체의 권리를 전면 박탈한 대법원 판결을 강력히 규탄한다!
- 7.16
- AI 위험 법적조치 유예 발언은 매우 부적절하다
- 7.15
- Issues Discussed in the AI Session at the 2025 IGF
- 2025 IGF 인공지능 세션의 쟁점들
- 7.9
- [보도자료] 배경훈 과기부 장관 후보자에게 꼭 확인해야 할 것
- 7.4
- [공동논평] 하정우 수석, AI 교과서 입장 명확히 밝혀야
- 6.30
- 한국의 사회권규약 사전 심의 앞두고 유엔 사회권위원회에 쟁점목록 보고서 제출
- 네트워커 186호
- 6.27
- [해외정보인권] 기본권을 증진하고 안전한 디지털 생태계를 지원하는 EU 디지털 보안 아젠다 수립을 촉구하는 공동 서한
- <안전장치 없는 AI 질주, 위험하다 - AI 정책에 반드시 포함해야 할 6대 정책> 이재명정부 국정기획위원회 제안
- 6.26
- [2025 KrIGF] 인권과 평화를 위협하는 군사 인공지능, 이대로 괜찮은가
- 6.18
- “인권 기반 AI 정책과 국제연대를 모색하다” 국제포럼 <빅테크, AI 그리고 인권> 성료
- 6.16
- [논평] 특정기업 출신 AI미래기획수석 임명 우려스러워
- 2025 제 14회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KrIGF) 개최
- 6.11
- [Press Release] We Welcome the Agreement to Improve Privacy Policy and Ensure Users’ Right of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