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시의 상품화, ‘키즈 케어’
바른 사회, 바른 생활을 꿈꾸는 통제자들

By | 월간네트워커

어린이관리 서비스, 일명 ‘‘키즈 케어’(KIDSCARE)’ 서비스가 부모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지난 2002년도에 LG텔레콤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키즈 케어’는 본래 여러 IT업계에서 신변보호 서비스로부터 출발하여 개발하기 시작한 것이다.

Read More

블루메시아칩 기술적 보호조치 회피수단인가
구세주 감옥에 갇히다

By | 월간네트워커, 저작권

정품CD에 접근코드를 심는 목적은 복제CD의 사용을 금지함으로써 정품CD의 시장을 확보하는 것만이 아니라 지역별로 정품CD 시장을 분할・관리하려는 것도 있다. 접근코드는 지역코드(regional code)라고도 하는데, PS2와 그 게임CD의 판매사인 소니 엔터테인먼트는 지역별로 다른 코드를 심어 시장을 분할하여 가격 등을 관리한다.

Read More

FTA와 미디어/통신 자본의 공세

By | 월간네트워커, 한미FTA

미디어 공공성과 다양성을 이 참에 더 세게 밀어붙여 FTA가 아니라 그 할아버지가 와도 끄떡없는 상태가 될 수는 없을까. 보다 적극적인 대안 마련은 힘들어도 놓치고 있는 부분들은 어떻게든 대응해야 할 것 같아, 이 글에서는 FTA와 융합미디어 환경의 몇 가지 현안들을 짚어보고 싶다.

Read More

심광현 (한미 FTA 저지 범국민운동본부 공동정책 기획연구단장, shimkh@knua.ac.kr)
한미 FTA의 목표는 사회 전반에 걸친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

By | 월간네트워커, 한미FTA

지난 3월 28일 프레스센터에서 280개 사회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한미 FTA 저지 범국민운동본부’가 발족했다. 하지만 정부의 왜곡된 선전과 주류 언론의 함구로 인해 한미 FTA에 대한 일반의 인식수준은 여전히 낮은 편이다.

Read More

개미와 악어

By | 월간네트워커, 한미FTA

어느 교수가 자유무역협정(아래 FTA) 교육을 하면서 말했다. 악어와 개미가 덩치에 비해 깨무는 힘이 세다. 그러니까 둘이서 번갈아가며 상대방을 한 번씩 깨물어주기로 하자. 그게 공정한 게임이라고 할 수 있나. 한미 FTA는 이처럼 악어와 개미가 서로 깨물기 놀이하는 것과 같다.

Read More

홈페이지 자유게시판

By | 월간네트워커

어느 홈페이지마다 ‘자유게시판’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우리 학교 홈페이지도 마찬가지다. ‘자유’란 누구나 편하게 자기 생각을 펴는 공간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원래 ‘자유게시판’은 ‘free board’를 번역한 말로 ‘자유’라기보다 ‘공짜’나 ‘무료’게시판이 맞다.

Read More

삭막한 원통의 세계 : 데이터베이스

By | 월간네트워커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말 그대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류하고 찾기 쉽게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데이터는 단지 많다고 해서 가치 있는 것이 아니라 분류/정리가 잘되어 있어야 진정 가치를 발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는 그런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죠.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