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관리 서비스, 일명 ‘‘키즈 케어’(KIDSCARE)’ 서비스가 부모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지난 2002년도에 LG텔레콤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키즈 케어’는 본래 여러 IT업계에서 신변보호 서비스로부터 출발하여 개발하기 시작한 것이다.
정품CD에 접근코드를 심는 목적은 복제CD의 사용을 금지함으로써 정품CD의 시장을 확보하는 것만이 아니라 지역별로 정품CD 시장을 분할・관리하려는 것도 있다. 접근코드는 지역코드(regional code)라고도 하는데, PS2와 그 게임CD의 판매사인 소니 엔터테인먼트는 지역별로 다른 코드를 심어 시장을 분할하여 가격 등을 관리한다.
미디어 공공성과 다양성을 이 참에 더 세게 밀어붙여 FTA가 아니라 그 할아버지가 와도 끄떡없는 상태가 될 수는 없을까. 보다 적극적인 대안 마련은 힘들어도 놓치고 있는 부분들은 어떻게든 대응해야 할 것 같아, 이 글에서는 FTA와 융합미디어 환경의 몇 가지 현안들을 짚어보고 싶다.

지난 3월 28일 프레스센터에서 280개 사회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한미 FTA 저지 범국민운동본부’가 발족했다. 하지만 정부의 왜곡된 선전과 주류 언론의 함구로 인해 한미 FTA에 대한 일반의 인식수준은 여전히 낮은 편이다.

여러 가지로 해석되는 이러한 웹2.0은, 자본주의 세계 속에 살고 있는 우리의 현실적 맥락 속에서, 세 번째 해석의 확장 가능성에 길을 넓게 터준다.

많은 여성주의자들은 봄볕을 기다리면서 동시에 ‘여성영화제’를 기다린다. “카메라를 든 여전사”들이 기록해낸 수많은 여성들의 역사는 아무리 다른 시공간의 그것이어도 ‘희한하게’ 관객들의 가슴을 뜨겁게 해 준다.
시각장애인이 정보화 기기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체계적인 정보화 교육이 필요하다. 누구든지 컴퓨터를 배우려면 관련된 지식의 습득과 약간의 훈련이 필요하겠지만, 시각장애인들에게는 상당한 노력이 요구된다.
어느 홈페이지마다 ‘자유게시판’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우리 학교 홈페이지도 마찬가지다. ‘자유’란 누구나 편하게 자기 생각을 펴는 공간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원래 ‘자유게시판’은 ‘free board’를 번역한 말로 ‘자유’라기보다 ‘공짜’나 ‘무료’게시판이 맞다.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말 그대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류하고 찾기 쉽게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데이터는 단지 많다고 해서 가치 있는 것이 아니라 분류/정리가 잘되어 있어야 진정 가치를 발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는 그런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