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아트하우스

By | 월간네트워커

혹시 지금 인터넷하고 계세요? 그럼 ‘일주아트하우스’를 검색해보세요. 미디어 아트, 영상예술 전용관, 무료 대중 강좌, 단편영화, 지원작가 특별전, 퍼블릭액세스 프로그램 등 몇 가지 키워드를 발견합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많은 검색 페이지를 만나게 되고 관련 뉴스, 블로그 등 여러 매체를 통해 일주아트하우스에 대한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많은 검색 결과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Read More

잊지 말자, 작은 것이 아름답다

By | 월간네트워커

경제학자 E.F.슈마허(Ernst Friedrich Schumacher)는 요즘 같이 복잡한 세상에는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작은 것이 아름답다(Small is Beautiful)’라는 표어를 걸고 당시 주류 경제이론의 하나인 케인즈 경제이론을 비판하고 새로운 규모의 경제원리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Read More

황야의 건맨은 누구인가
네트워크의 무법자, DRM(2)

By | 월간네트워커, 저작권

인터넷, 그것은 원초적으로는 0과 1의 전기적 신호로 구성된 것이라는 점에서 불확정적이다. 반면에 수많은 패킷들이 질서정연하게 나름의 질서를 유지해야만 인터넷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존재론적으로 숙명적이라 하겠다. 이런 불확정적인 동시에 숙명적 존재인 인터넷에 그 존재적 위상을 확고히 하는 이 있다면 그것은 단연코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DRM) 바로 그것이다.

Read More

intherye님 블로그(http://intherye.egloos.com)
삐딱이 철학도

By | 월간네트워커

그가 쓰는 필명 intherye 는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에서 따왔노라고 밝힌 적이 있다 (‘아이디와 블로그 이름에 대하여’). 그는 철학도답게 철학의 여러문제들을 통찰하는 글을 쓰기도 하지만 (가령 ‘paradox’), 철학을 이용한 독창적인 농담들을 꾸준히 개발하기도 하고 (가령 ‘콰인화’) 철학사를 자기식으로 유쾌하게 정리해보기도 한다 (‘자세로 살펴보는 철학사’). 단순한 사례를 가지고 이러저러하게 가공해보는 지적유희를 즐긴다거나 (‘이야기를 그럴싸하게 쓰는 방법 -사례 연구’), 아무도 신경쓸 것 같지 않은 단어의 어원에 몰두하기도 한다 (가령 ‘찌질’).

Read More

저작권법 개정에 대한 지역의 요구를 국제적인 운동으로 상승시켜야
디지털 시대에 맞는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By | 대안적라이선스, 월간네트워커, 저작권, 정보공유

저작권법의 근본적인 문제는 모든 저작물에 대해 생산되는 즉시 자동적으로 저작권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이는 유럽의 영향이다. 그러나, 사실 창조된 저작물 중 단지 일부만이 진정으로 저작권에 의해 보호될 필요가 있는 것들이다.

Read More

당신의 권력과 말하기

By | 월간네트워커

대부분 우리는 스스로를 약자로 위치 짓고 피해자화(化)하면서 구조를 비판하고, 권리를 주장하는 일에는 능한 것 같다. 물론 충분히 소수자의 언어는 더 많이 발명되어야 하고, 발언들은 더 풍부해져야한다. 그러나 자신을 구성하는 수천 수만가지 정체성으로 인해, 자신 스스로가 사회적 약자이면서 동시에 기득권자 일 수 있고, 피해자 이지만 다른 전선에서는 가해자일 수 있다는 사실은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는 것 같다. 이에 대한 저항은 대부분 무의식의 차원에서 강하게 일고, 밖으로는 이론과 논리로 정당화되어 발화된다.

Read More

필요한 정보, 밝혀야 하는 정보

By | 월간네트워커

왜 정부는 수학능력시험 문제지를 회수하는 것일까? 전 국가적인 사항이기 때문에 출제진이나 출제경향에 대해서 일부 관계자 외에는 공개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공감을 한다. 그러나 대학에서 두 달 이상 장기간 사라지는 교수들은 대부분 출제를 위해 사라진다는 것을 우리는 너무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이미 끝난 문제지는 왜 회수하는 것일까? 현장의 학생이나 교사들은 수능 문제지를 바로 받고 싶어 한다.

Read More

결핵의 날을 지나며

By | 월간네트워커

3월 24일은 세계결핵의 날이었다. 신문에서 그것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해마다 새로 발생하는 결핵환자가 3만명을 넘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여전히 1등이고, 작년에는 그 전년도에 비해 2.2%가 늘어난 3만1천503명의 환자가 새로 발생하여, 그동안 줄어들던 추세가 반전되었다고 한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