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크럼 <아메리카>, 김제민 옮김, 김수박 글씨, 새만화책
내지(內地)의 불운한 크럼과 만화가의 책무

By | 월간네트워커

로버트 크럼. 1943년 출생. 한참 ‘냉전이 뜨겁던 시절’, 별로 즐겁지 않은 유년기를 보낸다. 60년대 후반, 부박하디 부박한 ‘미국식 저항’이 한창일 때, 그는 팔팔한 20대였다. 크럼의 그림을 보통 편집증적이라고들 하는데, 이 시대의 유행과 잘도 맞아 떨어졌다.

Read More

클릭을 발명한 괴짜들 외

By | 월간네트워커

클릭을 발명한 괴짜들 강태훈 지음/ 궁리 펴냄/ 2005 월드와이드웹이 세상을 휩쓸기 전, ‘클릭’을 꿈꾸었던 숨은 공로자들이 있었다. 그들이 꿈꾸었던 인터넷 세상은 과연 어떤 것이었을까. ‘하이퍼텍스트’와 ‘클릭’의 역사를 다룬 이 책은 하이퍼텍스트라는 개념이 어떻게 등장했고, 어떻게 발전했는지, 마우스의 발명과 개인용 컴퓨터의 등장, 네트워크 시스템의 발명 등에 얽힌 이야기들을 소개한다. 이 책에서 우리는 그동안 몰랐던 수많은 ‘컴퓨터 도사’들의 숨겨진 일화와 뒷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고도 과학기술사회의 철학적 전망

Read More

일주아트하우스

By | 월간네트워커

혹시 지금 인터넷하고 계세요? 그럼 ‘일주아트하우스’를 검색해보세요. 미디어 아트, 영상예술 전용관, 무료 대중 강좌, 단편영화, 지원작가 특별전, 퍼블릭액세스 프로그램 등 몇 가지 키워드를 발견합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많은 검색 페이지를 만나게 되고 관련 뉴스, 블로그 등 여러 매체를 통해 일주아트하우스에 대한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많은 검색 결과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Read More

잊지 말자, 작은 것이 아름답다

By | 월간네트워커

경제학자 E.F.슈마허(Ernst Friedrich Schumacher)는 요즘 같이 복잡한 세상에는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작은 것이 아름답다(Small is Beautiful)’라는 표어를 걸고 당시 주류 경제이론의 하나인 케인즈 경제이론을 비판하고 새로운 규모의 경제원리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Read More

황야의 건맨은 누구인가
네트워크의 무법자, DRM(2)

By | 월간네트워커, 저작권

인터넷, 그것은 원초적으로는 0과 1의 전기적 신호로 구성된 것이라는 점에서 불확정적이다. 반면에 수많은 패킷들이 질서정연하게 나름의 질서를 유지해야만 인터넷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존재론적으로 숙명적이라 하겠다. 이런 불확정적인 동시에 숙명적 존재인 인터넷에 그 존재적 위상을 확고히 하는 이 있다면 그것은 단연코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DRM) 바로 그것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