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간 은 ‘과학적 태도로 문화연구에 임하자는 지향’으로써, ‘과학적 문화론’을 이야기하는 은 ‘과학적 체계를 갖춘 문화연구’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에서 문화와 과학 사이에 ‘/’ 부호를 사용한다. 이 부호는 문화와 과학의 지속적인 ‘절합’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절합의 형태는 변증법적 형태가 된다고 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발간되는 이 내놓은 ‘2003년 겨울호’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쟁점들”이라는 주제를 특집으로 잡았다.
도메인네임은 어떤가. 도메인네임은 원칙적으로 선접수·선등록이다. 그래서인지 오프라인에서 광고와 좋은 상품생산 등을 통하여 유명한 상표를 가지게 된 상표권자보다는 도메인네임 선점자가 그에 대한 우선권을 가진 것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지난 3월 12일의 탄핵 정국을 기점으로 하여, 4월 15일에 있을 총선을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가 많이 달라졌음을 절실히 느낀다. 정치에 대해 무관심했거나 냉소적이었던 사람들마저도 펄펄 끓어오르게 한 그 분노 속에는 이참에 무엇인가 바뀌어야 한다는 의지들이 분명하다.

3·12 탄핵 사태 이후 온라인 게시판과 개인 홈페이지는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을 규탄하는 목소리로 가득하다. 탄핵안 표결에 참여한 193명의 국회의원들에 대한 성토와, 촛불시위 참여 제안, 4·15 총선을 통해 심판을 촉구하는 목소리, 그리고 내각제 개헌 음모론까지.

기계문명이 인간의 ‘생존’에 가하는 공포심을 철저히 체험하는데 근 25년 이상을 지탱해온 그룹이 있다. 이름도 으시시하게 ‘생존연구 실험실(Survival Research Laboratory, SRL)’이다.
지번 호와 다음 호에서는 웨스트우드 스튜디오의 게임들에 대해 소개를 하겠습니다. 지난 호에서 언급했듯이 웨스트우드 스튜디오는 C&C를 비롯해, 어드벤쳐게임, 롤플레임게임들을 만들었던 회사입니다.

지난 11월 혼탁한 정치를 바로잡고 나라를 바로 세우겠다며 ‘의병’이 일어났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알고 보니 이 ‘의병’들은 인터넷에서 모여 활동하며, 익살과 풍자가 가득한 패러디 작품을 사이트에 올리고 공유하며 사회·정치적 불만들을 쏟아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