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 margin-bottom: 0.21cm; }p.글쓴이-western { font-family: “맑은 고딕”,monospace; font-size: 9pt; text-align: right; }p.글쓴이-cjk { font-family: “맑은 고딕”,monospace; font-size: 9pt; text-align: right; }p.글쓴이-ctl { text-align: right; }p.sdfootnote { margin-left: 0.5cm; text-indent: -0.5cm; margin-bottom: 0cm; font-size: 10pt; }a:link { }a.sdfootnoteanc { font-size: 57%; }
아랍 혁명에서 인터넷 전쟁
조동원 (미디어운동/문화 연구)
0. 인터넷 ‘셧다운,’ 혹은 국가의 인터넷 서비스 거부 공격
이집트에서 2011년 1월 28일부터 2월 2일까지 인터넷이 전면 차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사실 이집트 정부는 인터넷이 반정부 투쟁이 조직되는 주요한 현장이 되기 시작한 2005년 이전부터 이미 인터넷을 통제해왔고, 페이스북에서 반체제의 목소리가 울려퍼지자 소셜 미디어에 대한 감시와 검열을 지속해왔다.1 하지만 1월 25일 “분노의 날”(Jan25) 시위가 일회적인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체제 변화를 요구하는 혁명적 봉기로 발전되고, 결국 수많은 사람들이 일시에 들고일어나자 감당을 못하고 인터넷의 작동 스위치를 내려버린 것이다. 국가권력이 감행한 대대적인 인터넷 서비스 거부 공격(DOS)이라고 할 만하다.
“분노의 날”(Jan25) 시위가 있던 1월 25일부터 이미 트위터에 대한 차단이 있었다. 정부는 하지 않았다고 발뺌했지만, 트위터 공식 트위터에는 교통량(트래픽)이 현저히 감소됐다는 보고가 올라왔다.2 그에 이어 26일에는 구글과 페이스북 접속이 차단되었다. 그리고 또 한 번의 대규모 시위가 예정된 28일 “분노의 금요일”의 전날 밤에 급기야 인터넷과 휴대전화가 전면 서비스 거부되는 사태로 이어졌다. 이집트 수도 카이로 시간으로 27일 밤 10시 반을 넘으면서 인터넷 교통(트래픽)의 93%가 차단된 것이다.3
출처: renesys.com
인터넷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를 위한 이동통신망 역시 차단되었다. 영국 기업으로 이집트 정부가 36%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보다폰 이집트(Vodafone Egypt)는 이집트의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가 특정 지역에서 서비스를 중단하도록 요구받았고 그에 응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프랑스 텔레콤이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모비니(Mobinil) 역시 마찬가지였다.4 그에 더해 1월 31일 아랍 전역에서 알자지라 방송 신호에 대한 최악의 전파 방해가 있었고,5 이후로도 계속 전파 방해가 있다는 공지가 알자지라의 웹사이트에 게시되었다.
이와 같은 국가적 차원의 인터넷 전면 폐쇄 사태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5년 2월 네팔은 왕이 계엄령을 선포하면서 나라 전체에 국제적 인터넷 연결을 절단시킨 적이 있었고, 2007년 9월 29일 버마의 독재정권은 사프론 혁명(Saffron Revolution) 동안 정부가 시위대에 가한 폭력적 탄압을 시민들이 기록해 올린 사진과 비디오의 흐름을 막기 위해 인터넷 연결을 전체적으로 폐쇄시킨 바 있다.6 또 이란의 경우, 1천만 개의 웹사이트가 정치·사회적으로 공격적이라는 이유로 접근 금지되어왔는데 2009년 반정부 시위가 대대적으로 벌어졌을 때 정부는 시위대 관련 웹사이트와 해외 언론 웹사이트를 차단시키며 온라인 감시를 강화했고, 데이터 전송율을 80%까지 떨어뜨리면서 거의 폐쇄와 다름없는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인터넷만이 아니라 이동통신망의 경우도 이란과 중국에서 부분적으로 텔레콤을 폐쇄한 적이 있었다.7
1. ‘막으면 돌아가고’: 풀뿌리 네트워크 기술
인터넷 전면 폐쇄는 핵 공격의 위기 상황에서도 취하지 않을 극단적인 조치지만, 체제가 무너지게 생긴 권력의 위기 상황에서 정부는 국내외 여론을 잠재우면서 반정부 시위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를 감행했다. 그러나 실제로 나타난 결과는 그 반대였다. 시위는 계속되고 도리어 더욱 확산되었다.8 온라인을 통해서나마 반정부 시위에 참여해온 사람들조차 이제 거리로 나가 시위에 직접 참여하기도 했다.9 뿐만 아니라 인터넷이 없던 시절부터 사회운동의 조직화와 대중동원에 필수적인 전통적인 풀뿌리 미디어의 활용이 더욱 두드러졌다. 시위대가 점유한 광장,10 거리의 낙서, 손팻말, 전단지 등이 그것이다. 특히 전단지는 그렇지 않아도 사회경제적인 이유로 인터넷 접근이 차단돼온 카이로의 저소득 계층 지역에 1월 25일 “분노의 날” 시위를 알리는데 가장 적절한 매체로 기능했다.11 시위 전술을 담은 유인물은 정보기관의 감시에 취약한 소셜 미디어보다는 이메일이나 복사와 직접 전달을 통해서 (재)배포되었다.12
점차 인터넷에 대한 통제가 심해지면서 그에 대항하는 시도가 여러가지로 나타났다. 우선, “분노의 날” 시위가 있었던 1월 25일부터 트위터가 차단되고 이어 페이스북과 구글 등이 차단될 때 이집트 내의 사람들이 이를 우회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지구적으로 분산된 프록시 서버(Global Proxy Cloud), 무료/자유 가상 사설망 서버(FREE VPN Server), 토르(Tor) 등이 사용되었다. 특히 익명의 인터넷 연결 기술인 토르(Tor)의 이용자가 급증했다.13 또, 카이로의 ‘타흐리르 광장’에서 무선 인터넷 연결이 차단되었을 때, 광장 인근에 살거나 사무실이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무선 인터넷 공유기(wifi routers)의 비밀번호를 제거해 광장의 시위대가 외부와 소통할 수 있게 했다.14 그리고 휴대전화기를 모뎀으로 활용해 무선 인터넷을 쓸 수 있는 방법이 공유되기도 했다.15
출처: the Tor blog
보다 안전하게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려는 장치도 마련되었다. 시위 참가자가 감청과 위치추적을 당하지 않고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의 앱(안드로이드 기반)이 개발되어 보급되었다. 암호화와 사설 프록시 서버를 이용해 모바일 통신의 보안을 제공하는 ‘붉은전화’(RedPhone)와 ‘문자보안’(TextSecure)이 그것이다.16 더 나아가 이용자가 감시당하는 위험 없이 안전하게 트위터를 활용할 수 있는 대안적 트위터를 개발하려는 시도도 있는데, 그 이름이 또한 ‘타흐리르’(Tahrir, 해방)다.
인터넷이 전면 폐쇄되는 상황으로 치닫게 되자 인터넷(하부구조)을 대체할 수 있는 풀뿌리 기술이 총동원되었다.17 인터넷과 이동통신이 폐쇄되었지만 유선전화는 살아있었기 때문에 텔레코믹스(Telecomix and We Rebuild) 등의 기술 활동가들은 먼지 쌓인 전화연결 모뎀을 다시 꺼내 1980~90년대 그랬듯이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 연결을 시도했다.18 웹 이전의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인 사설 전자게시판(BBS) 역시 재활용되었다. 또, 팩스가 끊어진 채널을 대체하는데 이용되었다. 텔레코믹스는 인터넷과 연결되는 팩스(Telefax), 즉 ‘팩스–웹 연결’(fax-to-web bridge)를 제공했는데, 이집트로부터 팩스를 받아 문제가 될 수 있는 발신자에 대한 민감한 정보를 삭제하고 그 내용을 웹사이트에 올리거나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원하는 이메일로 전송해주는 기능을 가졌다.19 이와 다르게 해킹행동주의 네트워크인 ‘무명씨’(Anonymous)는 정부의 부패상과 인권 침해의 심각한 현실을 알리고 퍼뜨리기 위해 위키유출에서 공개된 미국 외교전신(cables) 중에서 무바락 정권과 관련된 문서를 반복해서 팩스 전송했다.20 이것들 보다 더 오래된 기술도 활용되었는데, 아마추어 무선통신 혹은 햄 라디오(ham radio)가 그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햄 이용자는 면허증을 얻는데 정치적 인맥이 필요한 이집트 상황에서 시위에 반대하는 사람일 가능성이 높았다.21 사실, 전화연결 모뎀이나 팩스, 햄 라디오의 활용이 성공적으로 인터넷 연결을 대신했다고 보기는 힘들지만, 지배적인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풀뿌리 대안의 가능성이 어떻게 현실 속에서 실현되는지 잘 보여준 것이다.
네트워크 연결 중에서도 현장의 속보를 신속하게 공유하기 위한 대안적인 트위터 방식에 호응이 컸다. 먼저 미국의 한 대학원생은 이집트에서 소셜 미디어가 차단되자 그의 이집트 친구들에게 국제전화를 걸어 최신 정보를 계속 트위터 계정 ‘@Jan25voices’에 올리고, 휴대전화가 끊기자 유선전화로 지속했다. 그의 트윗은 “현지 전화( Live Phonecall)에 따르면: …”하는 식으로 시작되었고, 이를 통해 전문 기자들도 현장에서 보도하기 힘들었을 때 그는 실시간 현지 정보를 제공했다.22 흥미롭고 문제적인 또 하나의 실험은 구글이 나선 일이었다. 구글은 이전같으면 해킹 활동가나 기술운동집단이 했을 사회적 대안 기술 개발에 직접 뛰어들었다. 마침 지난 1월 25일 구글은 전화에 소셜 미디어를 연결하는 서비스인 ‘지금말하세요’(SayNow)를 인수했는데, 이집트에서 인터넷이 폐쇄되자 전화로 트윗을 하는데 이를 활용했다. ‘말로트윗하기’(speak2tweet)가 그것인데, 이집트에서 전화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보내면 ‘지금말하세요’ 사이트에 문자 메시지로 올라가고, 그 메시지에 대한 링크가 자동으로 트위터 피드(@speak2tweet)로 트윗된다. 그 음성이나 문자 메시지에 대한 번역은 군중외주의(crowdsourced) 번역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자원한 사람들이 구글 문서의 번역 페이지에 들어가 번역한 후에 ‘이집트 얼라이브’(Alive in Egypt)에 올리는 식이었다.23 이는 인터넷 연결이 없이도 트윗 – 즉, 실시간 단문 속보의 전달과 공유를 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인터넷이 복귀되기 시작한 2월 2일에 등장하기는 했지만 그런대로 널리 이용되었다.
또, 위성방송과 트위터가 결합된 형태도 있었다. 카이로의 한 미디어 연구자가 언급하고 있는 알자지라의 위성뉴스를 통한 트윗 방송(Satellite News Broadcast of Tweets)이다.24 이는 트위터를 통해 이집트 시위 현장의 정보가 외부로 나가는 것만이 아니라 다시 외부에서 현장으로 정보가 되먹임(feedback)되어야 하는데 인터넷이 차단되면서 외부의 정보가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였다. 알자지라는 이렇게 현장의 활동가와 시민에게 시위 전술과 행동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더해 구글의 ‘말로트윗하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긴급 전화 번호를 계속 공지해주었다. 이렇게 전화와 트윗, 위성과 트윗이 결합되는 것과 다르게, 위성–라디오–입소문의 결합도 있었다. 아라비아 위성뉴스는 그 방송 내용을 라디오로도 내보내면서 그 도달 범위를 확장했는데, 그 연구자의 조사에 따르면, 라디오를 통해 위성뉴스가 방송되면서 차에서 이를 듵은 운전자들이 차가 막힐 때 새로운 정보를 보행자들과 공유하고 그들은 다시 자신의 사회적 네트워크(인맥)을 통해 정보를 퍼뜨렸다. 이와 같이 인터넷이 차단되자 그 전까지 서로 연계되지 않았던 네트워크 간의 행동가능한(actionable) 정보의 유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이다.25
2. 풀뿌리 기술 저항의 역동(패턴)
인터넷 폐쇄라는 극단적인 상황이 펼쳐진 이집트의 사례는 정치적 격변의 시기에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풀뿌리 공동체 미디어가 어떻게 기존의 미디어 및 정보기술을 재결합시키면서 그에 대항하고 대안을 구성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정보는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핵심 요소가 된다. 반정부 시위대를 중심에 놓고 볼 때, 시위대 내부(해방광장 혹은 이집트 전역)에서 활발하게 오가는 정보가 있고, 대항해야할 정부가 생산하고 퍼뜨리는 반–정보가 있고, 외부의 국제연대 세력을 포함해 국제 여론을 형성하기 위한 정보가 또한 들락날락 해야한다. 즉, 내부에서 소통되는 정보와 반–정보가 있고, 내외부에 걸친 정보로서 내부로 들어가야하는 것과 외부로 나가야 하는 정보가 있다. 그리고 정보는 신속하게 실시간으로 전달돼서 당장의 시위 전술을 구상하고 행동에 옮기기 위한 것이 있고, 현장과 지역에서부터 전지구적인 범위까지 맞물려 돌아가는 사건의 연쇄와 흐름을 분석하고 판단하여 신중한 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정보가 있다. 행동을 위한 정보는 최대한 실시간에 가깝게 유통될 필요가 있고, 숙고를 위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지연되는 느린 속도를 갖지만 입체적인 관점을 담아야 한다. 이런 속보와 분석의 정보 모두가 잘 유통되기 위해서 내외부의 정보 유통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렇게 볼 때, 인터넷은 시위대 내부에서(혹은 활동가와 시민 대중 간)의 쌍방향 소통을 위해서도 중요한 매개였지만 이집트의 억압적 체제를 고려하면, 특히 정부의 인터넷 폐쇄가 국제여론과 국제연대로부터 반정부 시위대를 고립시키기 위한 조치였음을 상기해 볼 때 내외부의 소통에 더욱 결정적인 채널이었다. 그래서 앞서 보았듯이 인터넷이 끊겼을 때 인터넷과 같은 내외부의 소통을 지속하기 위해 등장한 것들이 유독 많았던 것이다. 예를 들어, 위성–트윗 같은 경우는 외부에서 내부로 실시간으로 들어가는 정보를 위한 채널의 복원이었고, 인터넷 대신 전화를 이용한 ‘말로트윗하기’ 역시 실시간으로 신속한 정보의 전달을 위해 만들어진 것인데 위성–트윗과 반대로 이것은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것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전화연결 모뎀이나 팩스 역시 국제적인 정보의 유통을 위한 것이었다.
이렇게 인터넷의 폐쇄에 맞선 시위대의 정보 미디어 행동주의는 내부에서, 그리고 특히 내외부 간의 정보 흐름을 지속하고 유지하기 위한 작업으로 종합될 수 있다. 반정부 시위의 역동적인 전개는 내부와 내외부모두에서 정보의 상호작용의 흐름이 얼마나 활발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보 미디어 행동주의는 상당히 결정적인 운동의 양상이 된다. 그래서 앞서 말한 전통적 풀뿌리 미디어를 비롯해 전화, 팩스, 무선통신, 라디오, 위성TV 등이 총동원되었고, 그 활용 방식도 평상시라면 잘 보기 힘든 것이었는데, 낡은 기술과 최신 기술이 결합되었고 기존의 방송 미디어(위성TV, 라디오 등)와 네트워크 기반의 소셜 미디어(트위터 등)이 결합되었다. 단적인 예로, 트위터는 실시간의 속보성 정보가 내부에서 그리고 내외부를 연결하는데 가장 적합한 형식으로 받아들여졌고, 인터넷이 차단되자 무엇보다도 이 소통 형식을 지속시키기 위해 (국제)전화, 위성TV, 라디오 등이 그 형식과 결합하게 된 것이다. 이것이 두드러져보인다고 이를 두고 지배 언론은 ‘트위터 혁명’으로 명명했지만, 정치적 격변의 시기에 요동치는 전체 정보 미디어 환경의 재구성 속에서 벌어진 한 양상일 뿐이다. 그런데 이러한 역동이 정부의 인터넷 폐쇄에 맞서는 정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시위대는 정부가 생산하고 퍼뜨리는 정보에 대항할 필요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 오히려 (반-)정보의 흐름을 차단하는 공세적 접근도 있었다. 인터넷 폐쇄 조치 자체가 그렇지만 정보경찰이 계정을 탈취한다거나 하는 해킹 공격이나 전파 방해가 시위대의 정보 흐름을 끊는 시도였고 이에 맞서 이루어진 무명씨의 정부 웹사이트나 이동통신 기업들에 대한 해킹 공격에서 볼 수 있듯이, 시위대 또한 정보의 흐름을 위한 대안적 채널을 새롭게 구성해낸 것뿐만 아니라 특정 정보의 흐름을 차단하는 전술을 함께 사용하였다.
3. 다른 인터넷은 가능하다
이번 일을 겪으면서 우리는 우선, 소셜 미디어를 다시 받아들이고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보았다. 우리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문화에 파고 들어온 소셜 미디어는 꼭 현재와 같이 기업이 지배하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구글일 필요가 없고, 심지어 인터넷일 필요도 없다. 이 새삼스러운 사실은 이번 격변 속에서 인터넷 폐쇄라는 극단적인 상황이 전개되자 그 소셜 미디어가 기반을 두고 있던 공동체의 유기적인 사회(관계) 구조가 표면에 부상하며 가시화되었다.26 한 연구자는 이번 경험이 사람들이 연결성에 대해 갖는 자신의 권리(entitlement)를 지각하는 방식에 급진적인 변화를 가했다고 하면서 소셜 미디어는 특정한 기술을 넘어서는 진정한 변화를 구성했다는 것이다.27 즉, 우리는 이번 아랍 혁명의 과정에서 페이스북 혁명이나 트위터 혁명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소셜 미디어가 사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어느 정도인지, 인과적인지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이런 사회정치적 변화과정에서 소셜 미디어가 혁명적 사회변화 과정에 함께 맞물리며 어떻게 보다 진보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지를 보다 적극적으로 질문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주목해야 할 지점은, 인터넷의 속성 자체가 초국적 네트워크이듯이 이집트에서 인터넷이 전면 폐쇄되는 사태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그에 대항한 조직적 움직임 역시 국제적인 것이었다는 점이다. 물론 이런 일 역시 하루 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지속적인 국제연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단적인 예로, 아랍의 한 해커는 지난 6년간 지역의 활동가, 기자, 인권 변호사에게 암호화, 이메일에서의 보안(PGP), 토르 이용과 같은 풀뿌리 해킹 기술을 통해 인터넷에서 감시와 검열을 피하는 방법을 교육해왔다. 그는 또 사회운동가나 인권활동가의 보안, 프라이버시, 익명을 위한 자유소프트웨어 도구 모음 책자인 ‘보안 상자’(Security In A Box)의 아랍어 편집본을 만들어 보급하기도 했다.28 2009년 이란의 반정부 시위 때도 해외의 해커와 기술 활동가들이 억압적 정부가 인터넷의 접근을 제약하는 것을 우회하는데도 국제적인 지원을 시도했다.29 이집트에 인터넷 차단을 우회하는 프록시 서버를 제공한 ‘접근’(Access) 같은 국제적 기술운동 집단 역시 이란에서의 투쟁 경험을 통해 조직된 것이다. 또한 튀니지와 이집트의 활동가들은 리비아의 반체제 시위대를 지원했는데, 단적으로 벵가지 등 해방된 리비아의 동부 도시들에 인접한 이집트에서 국경을 통해 구호물자를 조달하기도 하고, 리비아에서도 인터넷이 폐쇄되자 현장에서 생산된 미디어를 인터넷에 올리는 일을 대신했다.30 이와 같이, 국제연대는 인터넷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인터넷을 위해서도 중요한 요소였다.
민중 봉기가 그랬듯이 정부의 인터넷 폐쇄 조치 역시 이집트와 여러 곳들로 도미노처럼 퍼져갔다. 하지만 이는 이번 아랍 혁명 시기 동안에만 볼 수 있는 특이한 인터넷 탄압 사례가 아니다. 반정부 시위가 터져나오거나 정보의 사유화와 상품화를 위반하는 정보의 자유 흐름이 거센 거의 모든 곳들에서 일시적으로 혹은 일상적으로 인터넷 폐쇄가 이루어지고 있다.31 그래서 애초 인터넷이 핵공격에도 안전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로 기획되었던 것처럼 이제 권력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국가와 이윤창출을 위해 인터넷을 사유화하고 거듭 통제하려는 기업에 맞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인터넷, 말하자면 ‘대안 인터넷’이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될 때가 되었다.
1“아랍 혁명과 페이스북 ‘반’혁명,” 조동원, 인권오름 240호 나들터, 2011.3.2.
2“New Social Networks With Old Technology – What The Egyptian Shutdown Tells Us About Social Media,” internet.artizans, 20112.10.
3 “Egypt’s Internet Blackout: Extreme Example of Just-in-time Blocking,” Masashi Crete-Nishihata & Jillian C. York, OpenNet Initiative, 2011.1.28. 이 때 누어(Noor Group) 인터넷 제공업자(ISP) 회선은 차단되지 않았는데, 그 고객 명단에 이집트 증권거래소(Egyptian Stock Exchange), 이집트 상업 국제은행, 이집트 중앙은행, 이집트 신용평가국(I-Score), 이집트 항공 등 금융 정보 네트워크의 핵심 기관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 역시 31일 저녁에 차단되었다(“Egypt’s Net on Life Support,” Renesys Blog, 2011.1.31).
4“The Role of Multinationals in Egypt’s Communication Shutdown,” Business Ethics, 2011.2.2.
5“Egypt’s uprising: different media ensembles at different stages,” John Postill, media/anthropology, 2011.2.10.
6“Egypt’s Internet Blackout: Extreme Example of Just-in-time Blocking”
7“Digital Media and Iran’s Green Movement: A Look Back with Cameran Ashraf,” The Hub(hub.witness.org), 2009.12.15.
8“How the Internet Kill Switch Didn’t Kill Egypt’s Protests,” Alix Dunn, meta-activism project, 2011.2.13.
9“Egyptians Were Unplugged, and Uncowed,” NYTimes.com, 2011.2. 20.
10이집트 카이로의 ‘타흐리르 광장’(Tahrir Square, 해방 광장이라는 뜻)은 그 자체로 상징적인 공간적 매체였는데, 단적으로 다국적 즉석 음식점(KFC)은 시위대가 접수해 간이 병원으로 사용되었고, 아이를 가진 여성들의 시위 참여를 돕기 위해 광장 한 켠에 유치원이 마련되기도 했다. “Egypt: The camp that toppled a president,” BBC News, 2011.2.11.
11이 지역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미친 매체는 아마도, 무바락이 사퇴하기 이틀 전까지 오락 프로를 방영하거나 반정부 시위에 대한 흑색선전을 일삼은 국영TV라고 할 수 있는데, 시위대는 반정부 시위의 정당성과 인민의 집단적 요구를 알리는 전단지를 이들 지역에도 널리 유포했고, 실제로 25일의 시위에 이들 지역 사람들이 상당히 많이 참여했다(“How the Internet Kill Switch Didn’t Kill Egypt’s Protests”).
12“Egypt’s uprising: different media ensembles at different stages”; “Egyptian Activists’ Action Plan: Translated,” The Atlantic, 2011.1,27. 시위 전술 전단지의 한글 번역은 여기서 볼 수 있다: “이집트 시위 현장에 뿌려진 시위 전술 유인물,” The Dispossessed, 2011.2.3.
13“Recent events in Egypt,” The Tor Blog, 2011.1.29. 토르는 수많은 이용자들의 참여를 통한 지구적 연대의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는데, 토르의 계주와 다리(Tor relays and bridges)를 내려받아 자기 컴퓨터에 운영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인터넷 검열을 피해 익명의 네트워크 접속의 가능성이 커진다.
14“New Social Networks With Old Technology – What The Egyptian Shutdown Tells Us About Social Media”
15“Without Internet, Egyptians find new ways to get online,” Computerworld, 2011.1.28.
16“Free Android encryption comes to Egypt,” The Register, 2011.2.10.
17보다 자세한 내용은http://werebuild.eu/wiki/Egypt/Main_Page 그리고 http://www.movements.org 참조.
18“Low-Tech and the revolution or: How a video of an egyptian girl forced us into technology of the 90s,” We Rebuild Interfax, 2011.2.2.
19“New Social Networks With Old Technology – What The Egyptian Shutdown Tells Us About Social Media”
20“Amid Digital Blackout, Anonymous Mass-Faxes WikiLeaks Cables To Egypt,” Forbes, 2011.1.28.
21“Ham radio not a viable option for Egypt,” PC World Australia, 2011.2.1.
22“Without Internet, Egyptians find new ways to get online”; “New Social Networks With Old Technology – What The Egyptian Shutdown Tells Us About Social Media”
23“New Social Networks With Old Technology – What The Egyptian Shutdown Tells Us About Social Media”; “Egypt’s uprising: different media ensembles at different stages”
24“How the Internet Kill Switch Didn’t Kill Egypt’s Protests”
25“How the Internet Kill Switch Didn’t Kill Egypt’s Protests”
26“The Religious Element of Egypt’s Secular Revolution,” Alix Dunn, meta-activism project, 2011.2.15.
27“New Social Networks With Old Technology – What The Egyptian Shutdown Tells Us About Social Media”
28“New Video: Cairo Geeks Survive Tahrir Square Assault,” Wired.com, 2011.2.2.
30“Libya’s revolution headquarters,” Al Jazeera English, 2011.2.27.
31가장 최근의 극적인 사례는 2010년 12월에 있었던 위키유출(Wikileaks)에 대한 미 정부와 아마존, 금융 기업들의 그 웹사이트 차단과 서비스 거부였다. 이 때도 대안 인터넷을 위한 국제적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진행되고 있다. “수많은 위키유출(Wikileaks)들과 ‘대안 인터넷’,” 조동원, 인권오름 236호 나들터, 2011.1.26.
2011-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