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정보인권
최신순 오래된 순
- 2021
- 2.22
- 미래 일과 노동조합 – 데이터와 알고리즘
- 1.27
- 채용 평가 기술에 대한 시민권 원칙
- 2020
- 12.23
- 유럽연합 인공지능 백서 – 신뢰 생태계 구축: AI규제 프레임워크
- 11.26
- 영국 AI 조달 지침
- 9.21
-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알고리즘 헌장
- 7.17
- AI 블랙박스 해체 : 인권 보호를 위한 10단계
- 5.22
- 세계 개인정보감독기구회의(GPA) 집행 위원회, 코로나 바이러스의 세계적 유행에 대한 성명
- 유럽 개인정보보호감독관 EDPS, 코로나와 위치 정보 감시에 대한 서한
- 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 이사회(EDPB), COVID-19 발생 상황에서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성명서
- 2019
- 12.17
- 토론토 선언 : 기계학습 시스템에서 평등할 권리와 차별받지 않을 권리를 보호하기
- 11.18
- 얼굴인식 기술 사용을 금지하라!
- 9.17
- 트리플 A – 알고리즘에 대한 효과적 조치 | 인공지능, 머신러닝 그리고 젠더
- 2017
- 4.5
- 온라인 프라이버시권, 오프라인과 동일하게 보장해야!
- 1.17
- 아실로마 인공지능 원칙 (Asilomar AI Principles)
- 2016
- 5.27
- 통신소비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CDT의 제안
- 5.7
- 유럽의회, 디지털시대 최적화된 개인정보보호규정을 마련하다
- 4.11
- 테러리즘 대응시 인권 및 기본적 자유의 증진과 보호에 대한 보고서
- 2015
- 12.3
- 유엔 프라이버시 특별보고관 조셉 카타나치의 10가지 계획
- 11.4
- 유럽사법재판소 ‘세이프하버’ 무효화를 선언하다
- 10.7
- ‘춤추는 아기’ 소송에서 공정이용을 위한 중요한 승리를 거두다
- 9.2
- EU가 국경에 ‘디지털 검문소’를 만들려 한다
- 6.2
- Internet.org 관련, 주커버그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
- 5.5
- 저작권 정책과 과학 및 문화적 권리 보고서
- 4.3
- 정보매개자 책임에 관한 마닐라 원칙
- 3.8
- 승리! 영국 감시 재판소가 GCHQ-NSA의 정보 공유를 불법이라 판결
- 2014
- 12.13
- 유엔, 프라이버시와 보안의 균형을 요구하다
- 11.4
- 유엔 특보, “테러대응 시에도 프라이버시권을 보장해야”
- 10.2
- 인터넷 민족국가?
- 8.5
- 유엔 인권 최고대표, “위험한 디지털 대량 감시 관행에 독립적인 견제와 균형 원칙 적용해야”
- 7.3
- 유럽사법재판소, 잊혀질 권리 판결
- 6.6
- 유럽사법재판소, 정보보관지침 무효 결정
- 4.23
- 인터넷할당번호관리기관(IANA)의 역할과 관련 루트존(root zone) 관리 이양에 대한 질문과 대답
- 2.7
- 공공장소에서 공공기관의 비디오 감시와 인권 보호에 대한 의견
- 1.14
- 브라질 회의의 시동을 걸다
- 2013
- 12.4
- 유럽 개인정보감독관의 영상감시 가이드라인
- 11.13
- 국가 감시 시대의 인권
- 10.5
- 국제인권법상의 통신감시원칙
- 8.4
- 페이스북의 비밀 검열이 파키스탄 정부와 거래하고 있다
- 7.9
- 인터넷 및 통신감시에 대해 미국 의회에 보내는 시민사회 서신
- 6.10
- 독일: ‘구글’이 해로운 검색에 관해 알고 있었다면, 자동검색기능을 삭제해야 한다